“서산 마애삼존불 모델은 백제인 가족”

  • 입력 2007년 3월 7일 03시 01분


코멘트
본존여래상을 중심으로 우협시보살상과 좌협시보살상이 있는 충남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제84호). 동아일보 자료 사진
본존여래상을 중심으로 우협시보살상과 좌협시보살상이 있는 충남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제84호). 동아일보 자료 사진
《충남 서산마애삼존불상(국보 제84호)이 백제 일가족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동국대 미술사학과 정예경 교수는 “본존여래상은 호쾌한 백제 남성을, 우협시보살상은 다소곳한 여성을, 좌협시보살상은 천진난만한 아기를 표현했다”며 “이는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경지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6일 주장했다. 그는 이 같은 내용의 논문을 다음 주 발간될 ‘불교학보 46집’에서 발표한다.》

서산마애삼존불상이 백제인의 얼굴로 석가와 보살을 표현했다는 주장은 처음이다. 이에 대해 전문가 사이에서는 ‘주관적 해석’이라는 반박도 나오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정 교수는 신체 비례와 얼굴 표현을 분석한 결과 본존여래상이 눈을 활짝 뜨고 있는 반면 우협시보살상은 눈초리를 추켜세운 채 눈을 가늘게 뜨고 있어 다소곳한 인상을 준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불상과 달리 좌협시보살상이 정면을 응시하지 않은 모양은 “예배자에 관심을 두지 않고 자기만의 유희적 세계에 빠진 아기의 천진한 태도를 표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정 교수는 이 삼존상이 귀족이 아니라 시골의 사내와 아낙네, 아기를 사실적으로 묘사했다고 강조했다.

우협시보살상은 치아가 뻐드러진 여성의 웃는 모습을 담았는데 이것이 귀족의 세련된 이미지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정 교수는 “삼존불은 백제와 중국의 무역로에 있었다”며 “삼존불은 귀족미술이 아니라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한 상인과 서민의 미술을 대변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강우방 이화여대 미술사학과 초빙교수는 “당시 보살상은 중국의 영향을 받아 대부분 소년의 모습을 하고 있었다”며 “본존여래와 협시불에 남성과 여성의 이미지를 부여한 것을 두고 실제 남성과 여성을 묘사했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다”고 반박했다.

윤완준 기자 zeit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