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사 연구재단’ 3·1절에 뜬다…연구재단 설립추진 총회

  • 입력 2004년 2월 3일 19시 06분


코멘트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학술연구센터로 ‘고구려사 연구재단’(가칭)이 3월 1일 발족한다.

재단설립준비위원회(준비위원 이만열 국사편찬위원장, 장을병 한국정신문화연구원장, 김정배 고려대 교수)는 4일 오후 2시 서울 성북구 안암동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재단설립추진위원회 창립총회를 개최한다. 이날 창립총회에서는 고려대 총장을 지낸 김정배 교수(64·한국사학과)가 위원장으로 추대될 예정이다. 김 교수는 국사편찬위원과 고대(古代)학회장, 한국사연구회장 등을 역임했다.

4일 총회에서 학계와 시민단체 대표들로 구성된 50여명의 추진위원들은 연구재단의 설립 방향에 대해 구체안을 마련한 뒤 12일 공청회를 열어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18일 연구재단 발기인 총회에서 정관과 조직이 결정되며 3·1절에 대국민 선언과 함께 연구재단이 발족된다.

창립총회와 공청회에서는 특히 연구재단의 법적 위상과 명칭, 역할 등에 대한 토의가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정부 출연기관인가 민간기구인가=연구재단의 법적 위상에 대해 정부 주도의 국책연구소로 만들자는 안, 기업 등의 협찬을 받는 민간 주도의 독립기구로 설치하자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여호규 한국외국어대 사학과 교수는 “순수 민간기구로 둘 경우 지속적인 예산 확보가 어려우므로 체계적인 연구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양기석 충북대 역사교육과 교수는 “정부 출연기관이 되면 정부의 입장에서 벗어나 독립된 목소리를 내기 어렵다”고 우려했다.

▽한국고대사인가 동북아시아사인가=재단의 연구 범위에 대해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는 최광식 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고구려를 중심으로 고조선 부여 발해 등 한국의 고대사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시민단체인 ‘아시아 평화와 역사교육연대’(공동대표 이수호 민주노총 위원장)는 지난달 27일 이와 관련해 “일본의 역사 왜곡과 독도 문제 등 한중일 3국의 근현대사까지 포함한 동북아시아사로 연구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성명서를 통해 밝힌 바 있다.

▽시민단체 참여 어떻게 할 것인가=노태돈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는 “연구재단은 연구가 중심인 조직과 운영이 돼야 한다”며 “국내외를 둘러보아도 인문사회과학 연구소에서 연구 결과에 대한 사회적 활용까지 맡는 경우는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아시아 평화와 역사교육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연구 외에 교사·시민단체의 교육과 활동을 지원하는 업무도 재단이 관장해야 한다”며 “참여 형태이든, 긴밀한 네트워크를 통해서든 시민단체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열린 구조가 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진영기자 eco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