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포석 人事의 세계]김성근 前 LG 트윈스 감독<下>

  • 입력 2003년 5월 25일 18시 07분


코멘트
해태와 MBC를 거친 김동엽은 ‘그래 잘라라 잘라’란 저서에서 구단의 압력에 굴하지 않는 김성근 감독의 자존심을 팬들에게 소개한 바 있다.-동아일보 자료사진
해태와 MBC를 거친 김동엽은 ‘그래 잘라라 잘라’란 저서에서 구단의 압력에 굴하지 않는 김성근 감독의 자존심을 팬들에게 소개한 바 있다.-동아일보 자료사진
김성근 전 LG 감독은 프로야구 최고의 명장으로 꼽히지만 그의 인간 포석은 21세기 경영자상(像)과는 거리가 멀다는 느낌이 드는 게 사실이다.

그가 기업은행 감독으로 있던 70년대 초의 일이다. 팀이 일본실업팀 산쿄 세키에 이어 김응룡(金應龍) 현 삼성 감독이 이끄는 한일은행에도 10점차 이상으로 대패하자 그는 단골 이발소로 가 머리를 빡빡 밀어버렸다. 숙소로 돌아 와서도 아무 말을 하지 않았다.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알아. 선수들이 하나 둘 숙소를 빠져나가더니 그날 밤 전부 삭발을 한 거야. 그리고 그 다음 대회에선 우승했지.”

이런 일화도 있다. 부산 원정경기를 갔는데 육군에 대패하자 프로야구로 치면 단장격인 야구부장이 당장 그날 밤 선수단을 데리고 서울로 올라가라고 했다. 천하의 김성근이 이를 들을 리 만무. “안된다, 아무리 졌지만 휴식을 취해야 한다”며 매니저에게 기차표를 전부 환불시켰다. 문제는 그날 밤 발생했다. 선수 4명이 만취한 상태에서 패싸움이 일어났고 급기야 경찰이 출동하는 큰 사건으로 이어진 것. 그는 즉각 “내가 모든 책임을 지겠다”며 미련 없이 사표를 던졌다. 사표는 물론 반려됐다.

그러다 보니 주위의 눈길이 반드시 고왔던 것만은 아니었다. 감독이 매니저와 단장은 물론 투수와 타격, 주루, 수비 코치의 몫까지 도맡아 하니 선수단의 자율성이 떨어진다는 비판도 들었다. 데이터 야구를 신봉하다 보니 주전선수들조차 정해지지 않았고 타순과 투수 로테이션도 없어서 ‘반쪽 야구’라는 혹평도 받았다.

“스승의 내리사랑을 타율로 받아들이면 곤란하지. 미국 프로야구의 명장 토니 라루사도 자신이 모든 걸 다했어. 통계야구란 게 난들 힘들지 않은 줄 알아. 매일 밤을 꼬박 새며 데이터를 뽑았어. 쌍방울 시절 비가 와서 전주구장에 고인 물도 새벽에 내가 다 퍼냈어. 그게 다 내가 잘되려고 그런 거야? 선수들이 좋은 성적을 내도록 하기 위한 거였지.”

김성근은 구식이었지만 사람을 관리하는 데 있어선 고비마다 맥을 짚는 감각이 뛰어났다. LG의 ‘겉멋 삼총사’였던 양준혁 이상훈 이병규는 이렇게 관리했다.

지나치게 자존심이 강한 양준혁에겐 “후배들 앞에서 내가 너를 야단치지 않도록 네가 알아서 최선을 다해라”고 주문했다. 이후 양준혁은 훈련 때면 최선을 다하는 모범생으로 바뀌었다. ‘열혈남아’ 이상훈이 미국에서 오자 그는 “남자끼리는 눈에 보이지 않는 실밥이 있다. 사나이끼리 한번 사귀어 보자”고 제의했다. 올 시즌에서도 펄펄 날고 있는 이병규를 2군으로 내려 보낼 때는 그에게 “너는 4할을 쳐야 되는 타자”라는 말로 부추겼다.

태평양 시절에는 놀기 좋아하는 박정현의 숙소에 아예 코치를 배정해 집어 넣었고 공은 잘 던지는데 숫기가 부족한 정명원은 아예 집으로 돌려보내 버렸다. 정명원은 나중에 김성근의 성수동 자택까지 찾아 와 야구를 계속하고 싶다고 읍소했는데 그는 근처 문구점에 데리고 가 일기장을 하나 사준 뒤 다시 돌려보냈다.

왜 일기장을 사줬느냐고. 하루하루 일기를 쓰면서 자신을 반성하다 보면 오기도 생기고 용기도 생길 것이란 뜻에서였다. 일기를 쓰게 한 방법이 효과가 있었는지 정명원은 그 뒤 특급 투수로 성장했다. 우완 정통파 강속구 투수인 그는 구속 150km쯤은 보통으로 던졌는데 뒷날 현대의 에이스로 한국시리즈에서 노히트노런을 기록하기도 했다.

“삼성에선 강동우가 가장 기억에 남아. 그 친구 정말 야구재질은 타고났지. 문제는 동료애가 약하다는 거야. 2군 감독 시절 광주에서 지고난 뒤 아픈 애에게 운동장 20바퀴를 돌렸어. 그리고는 집에 가라고 했지. 몇 번을 가라고 해도 무릎 꿇고 빌더라고. 됐다 싶었어. 그때부터 서로 죽이 맞았지.”

쌍방울 때는 한대화 김성래 이종두 김성현 김실 등 한때 이름을 날렸지만 다른 팀에서 폐품처럼 버려졌던 선수들을 닥치는 대로 긁어모았다. 구단에선 고액연봉자라며 난색을 표했지만 만년 꼴찌 쌍방울로선 어차피 연고 선수만으로는 팀을 꾸려나갈 수 없었다. 결국 쌍방울은 이들의 맹활약으로 김성근이 지휘봉을 잡은 96년과 97년 연속으로 3위에 오르는 신화를 만들어 냈다.

“이제 와 생각하면 사람을 쓰는 데는 왕도가 따로 없는 것 같아. 굳이 좋은 선수로만 팀을 만들 필요도 없지. 어떤 선수든지 장점이 있고 그 장점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는 게 지도자의 책임이자 의무야. 여기서 구식이냐, 신식이냐는 중요하지 않아. 내가 아낌없이 모든 걸 주면 선수들도 자연히 따라오게 돼.”

김성근의 인재 감별과 관리는 기업인이나 관료들의 그것과는 분명히 다른 면이 있다. 그는 선수들의 재능보다는 마음을 더 중요시했고 그 마음 속에 들어가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다. 그것은 그 어떤 과학적 인사기법보다도 위대한 것이었다.

장환수기자 zangpab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