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인 박사-강동균 씨 ‘장보고호’ 美서 출항
177년전 다윈의 비글호처럼 “갈라파고스를 향해”
남미해안-태평양 건너 32개국 4만3990km 항해
온난화-해양 자원 탐사… 내년 12월 여수 귀항
《9일 오전(현지 시간) 미국 메릴랜드 주 아나폴리스항(港). 권영인(47·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박사는 배의 항로를 표시하는 계기반의 정상작동 여부와 무선통신 기기를 최종 점검했다. 그러고는 한 달에 한 번 가족들과 통화하기 위한 이리듐 위성전화를 살폈다. 10시 정각. 권 박사의 최종 사인이 나왔다. 오케이! 부두에 연결된 끈이 풀렸다. 장보고호가 체서피크 만 저편으로 서서히 움직이기 시작했다. 411일간(예정)의 항해가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 탄생 200돌(2009년)을 맞아 진화론의 어제와 오늘, 지구 온난화 및 환경파괴, 자원 고갈의 생생한 현장을 돌아보고 해양자원을 탐사하는 해양탐사 프로젝트(후원 동아사이언스)가 시작됐다.
권 박사와 강동균(45·개인사업) 씨로 구성된 탐사대는 선체 길이 10.5m, 폭 4.27m의 요트 장보고호에 몸을 맡기고, 남미와 태평양을 횡단하는 대장정의 돛을 올렸다.
장보고호가 앞으로 거쳐 갈 나라는 총 32개국. 항해 거리가 지구 한 바퀴보다 긴 4만3990km에 이른다.
권 박사 일행의 탐사 주제는 ‘환경’과 ‘자원’. 장보고호에는 기후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탄소 측정기와 미래 자원으로 각광받는 가스 하이드레이트 탐사를 위한 메탄 측정기 등 15개 측정 장비가 설치됐다.
7월 서울을 떠나 아나폴리스항에서 출항 준비를 해 온 탐사대는 당초 10월 2일 출항 예정이었으나 기상 악화로 실험장비 선적이 늦어졌다.
탐사대는 10일간 미국 동부 해안 운하를 따라 장거리 항해를 위한 워밍업을 한 뒤 20일경 대서양으로 나서 본격적인 해양탐사를 시작한다. 12월 말부터는 다윈이 177년 전 탐험한 남미 동부 해안을, 내년 7월에는 갈라파고스 섬을 돌면서 주변 환경과 생태 연구를 수행한 뒤 태평양을 횡단한다.
항해 초반부 연근해를 항해하는 도중에는 중간 중간 정박을 할 수 있지만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태평양을 지나는 동안에는 그야말로 망망대해를 건너야 한다. 탐사대는 태평양의 타히티 섬을 거쳐 내년 12월 전남 여수항으로 돌아올 예정이다.
출항 전날, 별이 쏟아질 듯 맑은 아나폴리스의 마지막 밤. 두 사람은 1980년대 중반 처음 만났던 시절을 떠올렸다.
“형, 그때 우리 술 한잔 걸치면 ‘요트 타고 태평양 한번 건너자’고 입버릇처럼 말했잖아.”(강 씨)
“그랬지. 젊은 시절 치기 어린 이야기가 이렇게 실현되는구나. 꿈은 계속 꾸면, 결국 이루어지는 거야.”(권 박사)
아나폴리스=특별취재팀
![]() ![]() |
‘크로스 미디어’ 서비스
신문-잡지-인터넷은 기본… IPTV-케이블TV-휴대전화로도 만나세요
동아일보는 장보고호 탐사대의 생생한 탐험 현장을 ‘크로스미디어(cross-media)’로 제작해 독자와 시청자, 누리꾼에게 선보인다.
‘크로스미디어’란 하나의 뉴스를 신문 잡지 방송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에 맞춰 제작해 보도하는 것으로 매체의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보도 형태. 이번 탐사는 동아일보 편집국과 동아사이언스가 기획 취재해 신문기사와 동아닷컴(www.donga.com)의 동영상, 방송 다큐멘터리로 제작해 보도할 예정이다.
탐사 소식은 동아일보,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케이블TV 등 ‘올드미디어’와 동아닷컴 및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 인터넷TV(IPTV), 휴대전화뉴스 등 ‘뉴미디어’에 소개된다.
동아일보는 신문과 동아닷컴을 통해 장보고호 탐사대의 활동과 탐사 결과 등을 수시로 보도하는 한편 2009년 초부터 연말까지 탐사의 전 과정을 모두 4편의 방송 다큐멘터리로 제작할 예정이다. 1편은 카리브 해의 산호초 생태 및 지구 환경 변화, 2편은 브라질 아르헨티나 마젤란 해협 등 아마존 하류 및 파타고니아의 해초와 빙하 탐사, 3편은 찰스 다윈 탐사와 이번 탐사의 하이라이트인 에콰도르 갈라파고스 제도, 4편은 탐사대의 남태평양 횡단과 탐사 성과 등을 담는다.
또 11월 14일 문을 여는 국립과천과학관 개관기념 특별전인 다윈전(주최 동아사이언스, 후원 동아일보 교육과학기술부)에 탐사 활동을 소개하는 특별부스가 마련된다. 인터넷 과학신문인 ‘더 사이언스’(www.thescience.co.kr)에도 상설 페이지가 개설된다.
특별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