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씨는 22일 페이스북에 “동생의 1주기 준비를 간소하게 했다”면서 추모상 사진을 올렸다. 추모상에는 생선 구이, 사과, 송편 등의 음식이 놓였다. 이 씨의 동생인 A 씨는 지난해 9월 22일 서해 최북단 해상에서 실종됐다가 북한군에게 피살된 것으로 파악됐다.
북한 인권운동가 출신인 국민의힘 하태경 의원에 따르면 A 씨의 유족들은 사건 발생 1년이 지났지만 장례를 치르지 못했다. A 씨의 추모식에 참석한 하 의원은 “정부가 유족의 정보 공개 요청을 거부하면서 현재까지 A 씨가 실종자 신분이기 때문”이라고 페이스북에 적었다.
이 씨도 페이스북을 통해 “(정부가) 아직도 변명만 늘어놓고 있으니 천불이 난다”며 “이 사건을 다루는 정부는 말과 행동의 부조화에 부끄럽지도 않은가보다”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너무나 조촐하게 추모하게 만든 이 정부의 무능과 무책임, 변명 일관의 태도가 변해야 한다”고 했다.
경찰은 월북 정황에 관한 수사, 못 찾은 시신 등을 이유로 아직 A 씨의 사망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다. A 씨의 아내는 채널A와 인터뷰에서 “(고3 아들은) 육군사관학교 가는 게 꿈이었다”며 “그런데 군인은 월북자 가족이 있으면 안 된다고 하더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월북자라는 오명에서 끝난 게 아니라 내 아들의 미래를 꺾어버렸다”고 덧붙였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A 씨 아들의 손 편지를 받고 “아버지를 잃은 아들의 심정을 깊이 이해한다”며 “진실이 밝혀져서 책임을 물어야 할 것은 묻고, 억울한 일이 있었다면 당연히 명예를 회복해야 한다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답장했다. 또한 “아드님과 어린 동생이 고통을 겪지 않고 세상을 살 수 있도록 항상 함께하겠다”고 약속했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