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민생지원에 4688억 추경 나서
인당 500만원 한도 신용카드 지원
자재비 등 필수 운영비에만 사용
전통시장 환급 사업도 추진 예정
방성빈 BNK 부산은행장, 박형준 부산시장, 성동화 부산신용보증재단 이사장(왼쪽부터)이 23일 오후 시청 국제의전실에서 소상공인 3무(無) 희망잇기 신용카드 특별금융 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부산시 제공
부산시가 경기 한파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돕기 위해 나섰다. 시는 BNK부산은행, 부산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소상공인 3무(無) 희망잇기 신용카드’ 지원 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총 2000억 원 규모로 추진된다. 시는 올해 1차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먼저 200억원의 예산을 편성했고, BNK부산은행과 부산신용보증재단과의 협력을 통해 나머지 재원을 확보할 예정이다. 1인당 최대 500만 원 한도로 지역 소상공인 4만 명에게 혜택이 돌아간다. 최대 6개월간 무이자 할부, 연회비 면제, 보증료 전액이 지원된다. 자재비, 공과금 등 필수 운영비에 사용할 수 있고 음식점에서도 결제할 수 있지만 현금 서비스나 카드론, 유흥업종 등에는 사용할 수 없다.
부산에 사업장을 둔 소상공인 중 영업 기간이 6개월 이상이고, 신용점수(NICE신용정보 기준)가 595점 이상이면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이용을 원하면 30일부터 부산신용보증재단을 방문해 접수하면 된다. 방성빈 BNK부산은행장은 “부산 소상공인의 경영 안정과 자금 부담 완화를 위해 이번 상품을 출시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 지역 소상공인들의 든든한 동반자가 되겠다”고 말했다.
경기 침체로 인한 자영업의 위기는 심각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1년 약 37만 명으로 정점을 기록했던 부산의 자영업자 수는 계속 줄어 올해 1월 29만2000명으로 집계됐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도 지난해 4분기 기준 7.4%로, 전국 평균 6.7%를 웃돌았다.
최근 한국경제인협회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 5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61.2%는 “올해 매출이 지난해보다 줄어들 것”이라고 답했다.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 원부재료 매입비 부담(24.0%), 임차료·세금·수수료 부담(12.3%) 순으로 응답했다. 향후 3년 이내에 폐업을 고려하는 자영업자는 43.6%에 달했다.
이에 시는 최근 4688억 원 규모의 긴급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고 ‘민생경제 활력 더하기’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소비 위축으로 위기를 겪는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해 14개 사업을 벌인다.
‘소상공인 3무(無) 희망잇기 신용카드’ 지원 사업도 이 프로젝트의 하나다. 이와 함께 시는 지역 상권의 실질적인 매출 증대를 지원하기 위해 부산세일페스타, 전통시장 판매 촉진 지원사업, 전통시장 소비 진작 환급 사업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소상공인의 폐업 예방과 경영정상화를 지원하고 폐업 소상공인이 취업에 성공할 경우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되는 ‘희망 두 배 통장 사업’도 시행한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예산을 신속히 투입하고 보다 실효성 높은 정책을 다양하게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