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가스안전공사(사장 박경국, 이하 공사)는 2023∼2024년 도서 지역을 대상으로 운영하던 ‘가스안전 복지등기’ 사업을 올해 전국 산간(벽지·접적) 지역으로 확대해 약 2만7000가구를 대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공사에 따르면 산간 벽지·접적 지역은 도시와 떨어져 지리적·문화적·경제적·사회적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으로 도시가스 보급이 어려워 소규모로 LP가스를 사용하는 시설이 많으며 낮은 접근성으로 가스 공급자의 안전관리가 도심지에 비해 열악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대형 산불 피해가 지속·확대되는 등 산간 지역에 위치한 가스 시설에 대한 선제적 안전관리 활동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공사는 지난해 도서 지역 안전 확보에 큰 역할을 했던 가스안전 복지등기 사업을 산간 지역으로 확대해 운영할 예정이다.
가스안전 복지등기는 공사와 우정사업본부가 협업하는 사업이다. 지리적 특성상 안전관리가 미흡한 지역의 주민들에게 가스 시설 자가 점검 요령이 담긴 홍보물(등기우편)을 발송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집배원은 등기우편을 배달하며 가스 누출 및 용기 실내 보관 여부, 막음 조치 미비와 금속 배관 사용 여부 등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작성해 공사에 회신한다. 공사는 체크리스트를 분석해 위험 가구에 대한 현장 확인을 하고 위험 시설을 개선한다.
집배원은 업무 수행 중 가스 누출 의심 등 이상 징후를 발견하면 공사에 즉시 신고하는 ‘가스안전 메신저’ 역할도 함께 수행하고 있다. 본 사업은 2023년 전남의 도서 지역 대상 시범 사업을 시작으로 지난해에는 전국 33개 시군 307개 도서로 확대해 시행했다. 그 결과 안전 사각지대에 놓인 도서 지역 소재 2만6222가구에 가스안전 복지등기가 발송됐으며 집배원이 찾아낸 위험 우려 시설 76개소를 공사가 현장 확인하고 가스 누출, 막음 조치 미비 등을 개선해 사고로 연결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했다.
공사는 이달 ‘2025년 가스안전 복지등기 사업 추진계획’을 수립하고 전국 각 지자체로부터 산간 지역 소재 가구 명단을 제출받아 전국 약 2만7000가구를 대상으로 가스안전 위기 가구 발굴과 시설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가스안전 복지등기 사업의 업무 효율성 증대와 신뢰성 확보를 위해 집배원이 수기로 작성하던 가스안전 체크리스트를 전산화하는 등 우정사업본부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사업 체계를 구축해 나갈 예정이다.
가스안전 복지등기 사업이 내륙 산간 지역으로 확대됨으로써 산불 피해 예방에 기여하고 안전의 손길이 미처 닿지 못한 지역의 안전관리 공백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공사는 주변에 상존하는 안전 사각지대의 해소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계획이며 지리적 취약성으로 인해 안전에서 소외되는 가구가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