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엔 환율(100엔당)이 창구 매입가격 기준 1000원을 돌파한 가운데 엔화로 돈을 빌려 썼던 기업들이 대거 대출 상환에 나서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엔화 절상 압박,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겹쳐 엔화가 강세를 보이자 이자 부담을 덜기 위해 대출 규모를 줄이는 모양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7일 기준 엔화 예금 잔액은 총 724억 엔으로 집계됐다. 7일 원-엔 재정환율(980.32원)로 계산했을 시 약 7098억 원 규모다.
5대 은행의 엔화 예금 잔액은 지난해 8월 말부터 올해 2월 말까지 6개월 연속 줄고 있다. 지난해 8월 말 잔액은 778억 엔이었는데 9월 말 767억 엔, 10월 말 755억 엔, 11월 말 750억 엔, 12월 말 731억 엔 등으로 줄었다. 올해 들어서도 1월 말 730억 엔, 2월 말 725억 엔으로 소폭 줄었고, 이달 들어 7일까지 4영업일 동안 1억 엔이 더 감소했다. 지난해 2월 말(802억 엔)과 비교하면, 1년 새 10% 가까이 축소된 셈이다. 엔화 대출 차주는 장기로 시설자금을 충당하거나 수입 대금을 치르려는 기업 등 법인이 주를 이룬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7월 기준금리인 단기 정책금리를 0∼0.1%에서 0.25%로 높였고, 올해 1월에는 0.5%로 인상했다. 이 같은 금리 인상 등의 영향으로 원-엔 환율은 전날 장중 995.09원까지 올랐다. 2023년 4월 27일(1000.26원)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