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준 전 경호처장 14시간 조사 종료…이진하 본부장도 9시간 조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1월 11일 23시 35분


박종준 대통령경호처장이 10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특수공무집행방해)로 출석하며 취재진에게 질문을 받고 있다. 박형기 기자 oneshot@donga.com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했던 박종준 전 대통령 경호처장이 경찰 수사를 받기 위해 2차로 출석한 지 약 14시간 20분 만에 귀가했다.

박 전 처장은 11일 오후 11시 25분 경 두 번째 경찰 수사를 끝내고 경찰 국가수사본부 청사를 나오면서 “수사에 성실히 임했다”고 짧게 말했다.

이날 조사는 10일 첫 소환조사에 이어 하루 만에 이뤄진 2차 소환조사다.

1차 소환에 이어 2차 소환 때도 긴급체포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경찰은 일단 박 전 처장을 집으로 돌려보냈다.

어떤 부분을 소명했는지, 계엄 당시 관저에 있었는지, 사병 동원 지시가 있었는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이 쏟아졌지만 박 전 처장은 이에 답하지 않았다.

경찰은 3일 체포영장 집행 저지 당시 군 경호부대 의무복무 병사 등이 수사관들을 막는 데 동원됐는지 여부와 관련성 등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전 처장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기 위해 대통령 관저에 진입한 이달 3일 버스와 승용차로 차벽을 쌓고 경호처 직원 200여 명을 동원해 수사팀 진입을 막도록 지휘한 바 있다.

경찰은 이에 박 전 처장에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를 적용해 입건했다.

두 차례 출석 요구를 거부한 박 전 처장은 10일 경찰에 자진 출석해 첫 조사를 받았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주요 현안 해법회의(사회1 분야)’를 주재하며 안경을 고쳐쓰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10일 첫 출석 당시 현직 신분이었던 그는 출석과 함께 최상목 대통령권한대행에 사직서를 제출했다.

이 사직서가 수리되면서 박 전 처장은 첫 출석 당시 현직 신분으로 국수본에 출석했다가 13시간 조사를 끝마치고 나올 때는 전직 신분으로 나오게 됐다.

같은 날 출석한 이진하 대통령경호처 경비안전본부장도 박 전 처장보다 조금 빠른 오후 11시 경 9시간가량의 조사를 끝내고 귀가했다.

이 본부장 역시 조사를 마치고 나오면서 기자들과 만나 “성실히 임했다”고 짧게 말했으나 기자들의 구체적인 질문에는 답하지 않았다.

박 전 처장과 이 본부장이 경찰 수사에 협조하면서 체포영장 방해 관련 수사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경찰은 또 이광우 경호본부장에게도 13일 오전 10시까지 출석하라고 3차 출석 요구서를 보냈다.

다만 김성훈 경호처 차장은 11일 오전 10시까지 출석하라는 경찰의 소환에도 응하지 않았다.

세 번째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으면서 경찰은 김 차장에 대해 체포영장을 신청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윤석열 대통령#체포영장#경호처장#2차 조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