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론/김필수] 배터리 인재난 방치 땐 미래차 주도권 뺏긴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3월 8일 23시 45분


코멘트

글로벌 전기차 회사들, 배터리 효율에 사활
배터리 인력 양성안 급한데 中-日보다 미흡
정부, 産-學-硏과 협력해 맞춤 지원책 내야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사)한국전기차협회 회장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사)한국전기차협회 회장
작년 후반부터 국내 전기차 판매가 주춤하고 있고 글로벌 시장 판매도 둔화되고 있다. 올해부터 전기차의 가성비를 높이기 위해 이른바 ‘반값 전기차’를 목표로 모든 글로벌 자동차 제작사가 노력하고 있다. 전기차 가격의 약 40%를 차지하는 배터리 가격이 가장 핵심적인 이슈다.

미래 배터리의 개발과 생산은 미래 모빌리티를 좌우하는 요소로 글로벌 국가가 총력을 기울여 노력하는 이유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의 배터리는 우리나라와 일본이 좌우하는 리튬이온 배터리라 불리는 삼원계 배터리와 중국을 기반으로 생산되는 리튬인산철 배터리로 양분화되어 있다. 최근 전기차의 가격을 낮추기 위한 대안으로 값이 저렴한 리튬인산철 배터리 사용이 점차 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은 어느 누구도 주도권을 쥐지 못하고 있고 전기차의 성장이 앞으로 더욱 무궁무진한 만큼 배터리 주도권이 그만큼 중요하다고 하겠다. 그래서 최근에는 새로운 배터리로 나트륨이온 배터리, 아연공기 배터리, 리튬메탈 배터리, 리튬황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자국의 특성에 맞는 배터리 연구 기반을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의 주도권을 쥐겠다는 생존경쟁이라 하겠다. 이를 위한 배터리 분야별 전문가 양성은 미래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특히 글로벌 자동차 제작사가 직접 배터리를 공급하는 배터리 내재화를 진행하고 있어서 배터리 인재는 더욱 중요한 필수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각국은 핵심 첨단 전문가 양성에 사활을 걸고 각종 혜택을 늘리는 정책을 펴고 있다. 각종 관련법도 개정하고 지원 제도를 통하여 국내외 인재 양성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중국 등 다른 국가에 비해 각종 혜택이나 지원책이 미흡해 고민이 많은 상황이다. 이미 중국의 CATL이나 BYD 등은 국내 배터리 3사를 넘어 글로벌 시장까지 주도하고 있고 시장 점유율도 더욱 상승하고 있다. 연구개발 전문 인력도 우리의 2∼4배에 이른다. 게다가 배터리 인재 양성에 대해서는 미래 배터리 개발 주도라는 목표 아래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다. 배터리 전문 인력은 배터리 연구개발 인력, 생산 전문 인력,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인력 등 다양한 세부 분야에서 요구되고, 이를 위한 전문 연구시설과 시험시설은 물론이고 프로그램과 교과 과정, 지원 비용 등 여러 융합적인 조건이 필요하다. 특히 우수한 석·박사급 연구 인력의 확보는 전체를 좌우한다고 하겠다. 현재와 같이 단순하게 추상적으로 외치는 탁상행정식이 아닌 실질적인 현장 목소리 반영과 확실한 맞춤형 전문 교육 플랫폼이 요구된다.

국내의 경우 아직은 주먹구구식 정책이 난무하고 있다. 당장 작년 후반 국내 연구 분야에 몰아닥친 연구개발비 감소가 직격탄이다. 효율적인 연구비 정리라는 명목으로 진행하였으나 일선에서는 필요한 핵심 인력 양성 등 여러 프로그램이 폐기되는 등 부작용이 심각하다. 따라서 전체를 보는 시각으로 일선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 국내 배터리 관련 전문 인재 양성에는 고액 연봉 대우로 영입하는 인스트럭터, 즉 국내외 전문 교수진이 필수적이고 교재와 교보재, 교육 프로그램의 확보는 기본이다. 산·학·연·관의 유기적 융합도 필요조건이다. 정부는 전문 인력에 대한 확실한 지원책과 제도적 확충 대책, 자동차 제작사와 배터리사는 전기차·배터리 교보재 지원 및 인프라 지원, 대학은 관련 교재와 프로그램 및 교수진 제공 등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고강도 포지티브 규제와 부처 간 이기주의로 인한 칸막이 행정은 분명히 극복해야 할 과제다. 관련 유학생에게는 교육비는 물론이고 생활비 지원과 교육 후 국내에 머무를 수 있는 전문가 유인 후속 프로그램이 필수적이다. 이들을 다른 첨단 산업과의 유기적 응용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확실한 융합 인재로 양성해야 한다. 최근 일본은 첨단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해 석·박사 유학 후 영주권을 보장해 줬는데 우리가 참조할 필요가 있다. 정부가 탁상행정식 정책을 지양하고 현장 상황을 반영한 구체적 방안을 마련해 빠른 기간 내에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 이미 중국, 일본, 미국 등 경쟁국보다 전체적으로 느린 흐름은 서둘러 개선해야 한다.

미래 전기차·배터리 전문 인력 양성은 향후 5∼10년 사이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좌우할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현장의 문제점과 상황을 인지하고 철저한 분석과 지원책으로 융합적인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시간이 오래 남지 않았다.


김필수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사)한국전기차협회 회장
#배터리#인재난 방치#글로벌 전기차 회사#배터리 인력 양성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