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질 향상시켜 줄 공간복지[기고/이원호]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주거환경 개선해 더 나은 일상을
지자체-시민 모두 적극 참여해야

이원호 성신여대 교수
이원호 성신여대 교수
일상생활 속에서 ‘공간복지’라는 단어가 점차 많이 사용되고 있다. 2015년 국가건축정책위원회는 생활밀착형 공간복지 개념을 소개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후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는 공간복지와 관련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했다. 2019년 동아일보와 채널A 주최로 시작된 ‘대한민국 공간복지 대상’도 많은 관심 속에서 진행되고 있다.

경기 부천시의 경우 2023년 시 승격 50주년을 맞아 ‘공간복지’를 새 비전으로 내세우면서 “시민이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모든 세대와 계층에게 필요한 공간과 서비스를 지역사회 기반으로 제공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공간복지의 의미는 지금까지 진행된 다양한 사업 및 정책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인다. 다만 종합해 보면 ‘삶의 질을 높이고 행복한 일상을 실현하기 위해 공간을 찾고 활용해 시민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019년 공간복지 대상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부산 수영구 ‘F1963’의 경우 공장 이전으로 방치된 공간을 전시장, 카페, 도서관 등을 갖춘 복합문화공간으로 변신시켜 방학 기간 하루 2000명 이상이 찾는 명소가 됐다. 도시 내 공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시민의 삶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 사례다.

공간복지가 각광받는 이면에는 복지 및 도시정책의 근본적 변화가 있다. 먼저 과거의 복지 정책이 ‘사람 중심’이었다면 지금은 ‘장소 중심’으로 바뀌고 있다. 시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총체적인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취지에서다. 이는 선진국도 마찬가지다.

도시정책도 도로와 상하수도 등 ‘도시 인프라 중심’에서 시민들의 더 나은 일상을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변하고 있다. 복지·도시정책의 대상과 성격도 ‘취약계층을 위한 한정된 서비스’에서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체감적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이렇듯 ‘삶의 질 향상’이 복지·도시정책의 핵심 목표로 자리 잡으면서 공간과 복지가 따로 가는 게 아니라 함께 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다.

공간복지 정책이 성과를 거두고 시민들의 더 나은 일상이 현실화되려면 지방자치단체와 시민 모두의 노력과 참여가 필수적이다. 지자체는 다양한 생활 영역, 생애 주기, 소득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서비스를 발굴해야 한다. 또 공적 공간의 혁신적 활용 방안을 모색하며 발굴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시민 역시 도시 혁신의 주체로서 다양한 채널을 통해 지자체 등에 의견을 전달하고 참여해야 한다.

지자체와 시민, 두 주체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함께 배우고 실천하는 공간복지 정책 플랫폼 모델이 동아일보가 주최하는 ‘대한민국 공간복지 대상’을 통해 사회적으로 더욱 확산되길 기대해 본다.

이원호 성신여대 교수
#공간복지#주거환경 개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