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전에 개집까지…피싱용 ‘070→010 변환 중계기’ 기막힌 은닉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0월 18일 14시 07분


코멘트

단속 강화에 9월 전화금융사기 피해액 4년 만에 최저치

경찰의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 집중단속으로 올해 9월 전화금융사기 피해액이 월간 기준으로 4년 3개월만에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이 전화금융사기에 이용되는 ‘번호 조작 중계기’(중계기)를 집중 단속하면서 범죄를 예방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경찰이 야외 애견용 집 내부에 숨겨진 번호 중계기를 적발한 장면
경찰이 야외 애견용 집 내부에 숨겨진 번호 중계기를 적발한 장면
18일 경찰청 국가수사본부는 올해 9월 전화금융사기 피해 건수와 피해액이 각각 1289건, 316억 원이라고 밝혔다. 월간 피해액으로는 2018년 6월(286억 원) 이후 4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경찰은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예방적 수사가 효과를 내고 있다고 분석했다. 예방적 수사는 ‘070’으로 시작하는 발신 번호를 ‘010’으로 바꾸는 중계기나 대포폰 등 전화금융사기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범행 수단을 사전 단속, 차단하는 수사 활동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를 관리하는 조직 및 조직원도 단속해 범행 피해를 차단하고 있다.

특히 최근 중계기 단속이 피해액 감소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이 4~6월에 실시한 1차 ‘8대 범행 수단 특별단속’에서 중계기만 총 9679대를 적발했다. 2차 특별단속은 8월부터 이번 달까지 진행 중이다.

건설 현장 외벽에 설치된 번호 조작 중계기
건설 현장 외벽에 설치된 번호 조작 중계기
중계기 단속이 본격화하자 은닉 장소나 방법도 진화하고 있다. 특히 원룸, 모텔 등 주거지에서 관리되는 중계기가 단속되자 △산 중턱 △폐건물 옥상 △고가도로 밑 땅속 △건설 현장 배전 설비함 △건축 중인 아파트 환기구 내부 △아파트 소화전 △도로 충돌 방지벽 옆 수풀 속 등에서도 운영된다. 심지어 야외에 마련된 대형견의 집, 건물 외벽에서도 중계기가 적발된 사례도 있다. 중계기는 최근에도 휴대용저장장치(USB) 포트 형식이나 태양광 패널·무선 라우터·이동형 대형 배터리를 연결하는 등 새로운 형태로 발전 중이다. 최근엔 차량이나 오토바이에 중계기와 배터리를 싣고 다니거나 가방 안에 휴대전화 여러 대를 넣고 지하철을 탄 채 옮겨 다니는 속칭 ‘인간 중계기’까지도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USB 포트 형식이나 태양광 패널·무선 라우터·이동형 대형 배터리에 연결해 작동하는 방식 등 중계기 형태도 새롭게 진화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찰의 적극적인 단속으로 지난해 1~9월 사이 피해액은 6138억 원에서 올해 같은 기간 4404억 원으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이 기간 지난해 검거 인원은 1만 9274명이었으며 올해는 1만 9005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검거 인원 중 조직 상선 인원은 463명으로 340명에서 120여 명이 늘었으며, 관련 통신업자 검거 인원도 2516명에서 3372명으로 크게 늘었다.

경찰은 중계기 외에도 △미끼 문자를 대량 발송하는 문자 발송업체 △범행에 사용되는 전화를 공급하는 대포폰·대포 유심 유통조직 △중계기 관리조직 △자금세탁을 위한 대포통장 유통조직 등을 적극 단속할 방침이다.

김기윤기자 pep@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