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물가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지만 정작 추경으로 33조 원 이상의 돈이 시중에 풀리면 안 그래도 고공행진 중인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특히 소상공인 등에게 직접 돈을 지급하는 ‘이전지출’은 소비로 직결된다는 지적이 있다.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소상공인 손실 보상을 위해 추경을 안 할 수는 없다”면서도 “물가에 직접 자극을 줄 수밖에 없어 정부로서는 ‘최악의 타이밍’에 추경을 편성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추경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물가 리스크가 워낙 크니 지나친 돈 풀기는 경계한다. 소상공인 지원금을 분할 지급하자는 의견도 있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미국이 하반기(7∼12월)에도 기준금리 인상을 예고하고 경제가 위기로 들어가는 상황에서 추경까지 하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진다”며 “재정을 미리 당겨서 여력을 다 써버리면 ‘처방할 약’이 없어진다. 나중에 ‘환자’가 아파도 두고 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