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몸, 나의 선택 [김민의 그림이 있는 하루]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11월 13일 10시 30분


코멘트

수잔 발라동 ‘푸른 방’

최근 영미권 언론에서는 모델 겸 배우 에밀리 라타이코우스키가 발간한 책 ‘My Body’가 화제입니다. 21살 때 매거진 표지에 누드 사진으로 등장해 눈길을 끌고, 유명 가수의 뮤직 비디오에도 나체로 등장하면서 유명세를 얻게 된 그녀가, 자신의 몸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사회의 시선에 대해 솔직하게 써내려갔기 때문입니다.

BBC와 인터뷰하는 에밀리 라타이코우스키
BBC와 인터뷰하는 에밀리 라타이코우스키

인스타그램 팔로워가 2800만 명이 넘는 그녀는 영미권에서 ‘섹시한 여자’의 대명사로 여겨집니다. 그런데 성적인 매력을 앞세워 유명세를 얻은 그녀는 페미니스트들에게 비난을 받기도 했고, 배우가 되려고 했을 때는 “할리우드에서 성공하려면 예쁨을 망가뜨려야 한다”는 조언을 받았다고 회고합니다. 또 어느 인터뷰에서 로버트 볼라뇨의 소설을 좋아한다고 말한 것을 ‘예쁜 여자가 책도 읽는다’는 식으로 보도된 것에 항의한 적도 있습니다.

라타이코우스키의 몸을 두고 한 쪽에서는 끊임없이 성적 대상화를 하고, 다른 쪽에서는 당신의 그런 몸이 잘못됐다고 지적을 하고 있었던 것이지요. 라타이코우스키는 ‘나의 몸’이라는 제목의 책에서 자신은 누구의 대상도 아닌 나의 것이라고 털어 놓았고, 그것이 또 다른 여러 가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사실 우리 모두의 몸은 나의 것이지만 동시에 언제나 누군가에게 보여 지고 재단을 받는 대상일 수밖에 없다는 양면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 모호함을 여성들은 특히나 더 많이 겪는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한국 사회에서도 이러한 문제에 대한 논의가 최근에서야 나오고 있는데요. 이미 100여 년 전 ‘대상’으로만 머물기를 거부하고 주체로 나선 한 여성에 대한 이야기를 오늘 그림으로 해보려고 합니다.

○ 파자마 차림의 비너스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프랑스 파리의 한 여성 예술가가 58살일 때 그린 그림입니다. 이 그림의 포인트는 주인공인 여성의 자세입니다. 침대에 비스듬히 기대어 있는 모습은 서양 미술에서 여성 누드를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됐던 포즈라는 걸 한 눈에 알 수 있습니다.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1534)를 비롯해 벨라스케즈의 ‘로커비 비너스’(1647~1651), 프란시스코 데 고야의 ‘옷을 벗은 마야’(1800~1803), 에두아르 마네의 올랭피아(1865년)에 이르기까지 미술사 속 여인상을 관통하는 포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런데 이 그림 속 여인은 포즈만 차용했지 나머지 코드는 모조리 뒤집혀져 있습니다. 우선 옷을 입고 있고, 그 옷도 마치 누구도 만나지 않을 ‘집순이’ 모드일 때의 복장을 연상케 합니다. 편안한 고무줄 바지에 캐미솔 차림이죠.

침대 위 이불도 깨끗하게 정돈된 것이 아니라 마치 자고 일어나서 아무렇게나 펼쳐 놓은 상태 그대로 위에 앉은 듯한 모습입니다. 발치에는 책 두 권이 놓여져 있으며 여성의 입에는 담배가 물려져 있습니다. 마치 ‘내가 말하는 여인상은 이런 거야!’라고 아주 강하게 주장하는 것 같은 그림입니다.

그림 속 여성은 화가의 자화상으로도 추정된다고 하는데요. 100년 전 이 그림을 그린 화가는 도대체 어떤 사람일까요?

○ 르누아르의 모델에서 예술가로

주인공은 바로 오른쪽에서 춤을 추고 있는 여성, 수잔 발라동입니다. 허리를 꽉 조여 맨 핑크빛 드레스에 발그레한 볼, 그리고 수줍어하는 듯한 표정이 놀랍습니다. ‘푸른 방’의 비너스와는 정반대의 모습이죠? 화가가 되기 전 발라동은 인상파 화가들의 모델로 일하며 돈을 벌었습니다.

당시만 해도 여성이 화가가 되는 것은 극히 드문 일이었습니다. 물론 지난 편에서 소개한 베르트 모리조와 같은 화가가 있었지만, 발라동은 상류층 출신이 아니라는 점에서 또 다릅니다. 모리조나 매리 카사트는 모두 중상류층 집안에서 태어나 자신의 가정이나 주변 인물의 모습을 그리곤 했습니다.

발라동은 몽마르트의 한 세탁부 미혼모의 딸로 태어나 가난한 유년 시절을 보냈습니다. 아버지는 누군지 평생 알지 못했고, 11살 때부터 공장이나 모자 공방, 야채 장수, 웨이트리스 등 다양한 일을 하며 돈을 벌었습니다. 그러나 자존감과 끼만큼은 하늘을 찔렀던 그녀는 15살에 자신의 꿈이었던 서커스 단원이 됩니다.


몽마르트에서 곡예사로 무대에 서면서 그녀는 이곳을 드나들던 앙리 툴루즈 로트렉, 베르트 모리조를 만나게 됩니다. 특히 모리조를 보면서 자신도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영감을 얻게 됩니다. 발라동은 예술 교육을 받지는 못했지만 9살 때부터 스스로 드로잉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곡예사가 된 지 1년이 지나지 않아 줄타기를 하다 추락해 부상을 입은 그녀는 더 이상 서커스에 설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그림을 그리기에 그녀는 정식 교육도 받지 않았고, 또 캔버스를 살 돈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택한 직업이 바로 모델이었습니다.


1880년 처음 모델 일을 시작했을 때 그녀는 여전히 15살이었습니다. 10년 동안 르누아르, 로트렉, 퓌비 드 샤반 등 다양한 작가들의 모델로 일하며 돈을 벌었죠. 특히 드가와는 이 때 깊은 친구가 되어 그가 죽을 때까지 가까운 사이로 지냈습니다. 드가가 그린 많은 누드가 발라동 덕분에 가능했다는 걸 저도 이번 글을 쓰면서 새롭게 알게 됐습니다.



또 발라동은 로트렉과도 잠시나마 연인 관계를 맺었습니다. 화가로서 발라동이 가진 재능을 처음 알아봐준 것도 로트렉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의 작업실에 발라동이 그린 드로잉 3점을 걸어 놓고,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누가 그렸는지 맞춰보라”며 항상 소개를 했다고 합니다. 또 니체와 보들레르 책을 발라동이 읽어보도록 빌려주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모델일을 하며 그녀는 그림을 어깨 너머로 보고 배우게 됩니다.

○ 나의 몸, 나의 선택

이 그림은 위 르누아르 ‘부지발에서 댄스’와 같은 시기 발라동이 자신을 그린 것입니다. 르누아르 그림 속 여자와 자화상 속 얼굴이 완전히 다른 사람 같죠? 핏기 없는 회색조의 푸른빛에 굳게 다문 입, 그리고 정면으로 화면을 응시하는 얼굴. ‘모델일 때 내 모습은 진짜 내가 아냐!’하고 항의하는 듯한 그림입니다.

르누아르, 드가, 로트렉이 각각 그린 발라동의 모습을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롭습니다. 로트렉은 그녀를 한 때 사랑했으니 동등한 관계로 대한 것이 느껴지고요. 드가는 철저히 모델로, 마치 그림 속 구도의 하나로 보는 시선이 느껴집니다. 물론 그림 밖에서 드가는 이후 발라동의 그림을 사주기도 하고, 다른 컬렉터를 연결해주며 화가로서 지원을 해주었습니다.

그런가하면 르누아르의 그림에서는 지극히 클리셰적인 여성의 모습이 드러나는데요. 실제로 르누아르는 여성의 사회 진출에 대해 굉장히 시니컬한 반응을 보였었다고 합니다. 발라동이 그림을 그린다고 하자 르누아르는 자신의 친구에게 쓴 편지에서 “나는 작가, 변호사, 정치를 한다고 하는 여자들이 괴짜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 여자 화가라는 건 멍청한 소리”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다양한 시선들에도 그녀는 전혀 아랑곳하지 않았습니다. 모리조, 카사트보다 자신의 실력이 훨씬 뛰어나다 생각했고 그런 이유로 아카데미에 들어가는 것도 거부합니다. 1900년대부터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한 그녀는 정말 솔직하고 대담하게 자신을 표현해갔습니다.

그녀가 44살이던 1909년에는 23살 연인 앙드레 위터와 자신이 나란히 서 있는 누드화를 그리고 ‘아담과 이브’라는 제목으로 발표해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했죠. 또 어린 아들의 모습이나 평생 단짝이었던 엄마를 그림의 소재로 삼기도 했습니다. 논란의 중심에 서기를 꺼리지 않았던 그녀에 대해 남자관계 등 다양한 이유로 작품 세계를 폄하하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 그녀가 사망했을 때 일간지 르 피가로는 ‘화가 모리스 우틸로의 엄마’라고 소개했지 그녀를 화가라고 절대 쓰지 않았다고 하니까요.

그렇지만 발라동은 전혀 신경 쓰지 않았을 것 같습니다. 그녀는 언제나 솔직하게 삶을 대하고 그것을 직시하며 기록으로 남겼으며, 결국엔 작품이 남아 그녀의 삶을 증언해주고 있기 때문이죠. 72세 나이로 세상을 떠나기 직전, 발라동은 마지막 인터뷰에서 이렇게 털어 놓았습니다.

“난 내가 신념을 갖는 것이라면 절대 배신하지 않았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았다.”


고개는 비스듬히 기울었지만 굵은 윤곽선으로 그어진 강한 턱과 다문 입술, 그리고 거울 너머 정면을 똑바로 응시하는 그녀. 정말 숨길 것은 하나도 없다는 듯한 표정이죠. 100년 뒤 우리들에게 꼭 “이봐, 나도 그렇게 살았으니 너도 너의 몸뚱이로 당당하게 살아”하고 외치고 있는 것만 같습니다.

김민 기자 kimmi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