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법무부 감찰위는 만장일치로 윤 총장 징계청구가 부당하다고 결정했다. 감찰위에서 감찰 과정의 불법·탈법적 실상이 드러났다. 감찰위가 징계청구 부당을 결정한 주된 이유가 “윤 총장에게 소명할 기회도 주지 않았다”는 절차적인 문제였다. 그 다음 날 징계위원장을 맡을 고기영 법무부 차관이 징계위 개최에 반대하며 사표를 냈다. 그렇다면 징계위를 아예 열지 않는 것이 절차적 정당성을 지키는 길인데 청와대는 오히려 이용구 신임 법무차관 임명을 하루 만에 강행하는 무리수를 뒀다. 그래 놓고 징계위 개최가 예정된 하루 전날 절차적 정당성과 공정성을 강조하는 자가당착(自家撞着)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모르겠다.
문 대통령은 “이 차관에게 징계위원장을 맡기지 않도록 한 것도 절차적 정당성과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차관이 징계위원장을 맡지 않는 것과 절차적 정당성이 무슨 큰 관계가 있다는 것인지 납득하기 어렵다. 징계 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은 그가 징계위원으로 참석하느냐 마느냐이지 징계위원장이 되느냐 마느냐가 아니다. 징계위원장은 찬반이 동수일 때 결정권을 행사할 뿐인데 이번 징계위는 징계위원장을 빼면 5명밖에 되지 않아 찬반 동수 상황이 나올 수도 없다.
일각에서는 청와대가 절차적 정당성과 공정성을 강조한 것은 감찰에서 징계 청구에 이르는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뒤늦게나마 지적한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하지만 징계위원을 청와대와 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좌지우지할 수 있는 구조에서는 외양상 절차적 정당성을 일부 보완한다고 해서 공정한 판단을 기대하기 어렵다. 지금이라도 엉터리 징계위를 취소하는 것만이 절차적 정당성과 공정성을 지키는 길이다.
[김순덕의 도발]공수처장은 ‘법의 지배’를 말했다
이재영·이다영 ‘학폭’ 폭로 또…“입에 피 머금고 살았다”
국민 과반 “가덕도 특별법은 잘못”…부울경 54%도 부정평가
국민을 위한 정부는 없다[오늘과 내일/홍수용]
“가난해 따돌림 당한 아들…음식 사준 ‘편의점 천사’ 찾아요”
국민 53.6% “가덕도 특별법, 잘못됐다”…PK도 54% ‘잘못된 일’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