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사회적 역할 시각차 소개
“한국 음식 팥빙수-김밥 좋아해요”

이들의 개인전 ‘뉴스 프롬 노웨어’를 기획한 테이트리버풀의 큐레이터 타마르 헤머스(29)는 두 작가와 고철상을 돌아다니며 제작을 도왔다. 지난달 28일 만난 헤머스는 “팥빙수와 김밥을 좋아한다”며 미소 지었다. 그는 2012년 광주비엔날레 예술감독 와산 알쿠다이리(당시 카타르 아랍현대미술관장)와 함께 한국을 찾았다. 당시 중동 작가 10명을 광주에 선보였던 그가 올해 한국 작가를 리버풀에 소개한 건 벌써 두 번째다. 7∼10월 리버풀 비엔날레에서는 양혜규의 작품을 전시했다.

“두 팀 모두 예술의 역할에 관심을 가졌어요. 레제가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중요시했다면, 문경원 전준호는 그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죠.”
테이트리버풀은 수년 전부터 색다른 두 작가를 엮어 소개하고 있다. 20세기 프랑스 유명 작가 이브 클랭과 비교적 덜 알려진 폴란드 작가 에드바르트 크라신스키의 개인전을 병행하는 식이다. 헤머스는 이를 ‘매거진 전략’이라고 했다.
“테이트리버풀 전 예술감독인 프란체스코 마나코르다가 도입한 아이디어예요. 한 편의 매거진처럼 미술관 전시도 관객의 이해를 돕기 위해 공통된 주제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죠.”
그가 몸을 중심으로 기획한 ‘라이프 인 모션’은 19세기 오스트리아 화가 에곤 실레와 20세기 미국의 여성 사진가 프란체스카 우드먼의 작품을 함께 전시해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헤머스의 독특한 시각은 다채로운 이력에서 비롯됐다. 네덜란드 출신인 그는 아프리카 토고에서 중학교를 다니고, 대학 졸업 후 카타르 현대미술관에서 일했다. 그 뒤 영국에서 공부하고 2016년 테이트리버풀 큐레이터가 됐다.
“서구 밖에 더 넓은 세상이 있다는 걸 잘 알고 있습니다. 테이트도 서유럽·북미에 치중된 전시와 컬렉션을 확장하려 하고 있어요. 한국 작가와 새 영상을 만든 이번 전시가 자랑스럽습니다.”
리버풀=김민 기자 kimmin@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