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과 내일/부형권]세상과 일상을 바꾸는 ‘Me Too’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부형권 국제부장
부형권 국제부장
한국 회사의 해외 책임자로 오래 근무한 뒤 지난해 귀국한 임원 K 씨(57). 서울에서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를 건널 때마다 겁이 난다. 일단 멈춤을 하지 않거나 속도조차 줄이지 않는 자동차를 적지 않게 만나기 때문이다. 미국 같은 선진국에선 교통법규 위반 딱지를 떼이거나 보행자들의 거센 항의를 받을 게 뻔하다. 소송을 당할 수도 있다. “횡단보도에서도 멈추지 않는 차를 향해 ‘여보쇼, 정지해야지’라고 큰소리를 친 적이 있어요. 차가 멈추더니 운전석에서 젊은 남자가 내리더군요. 나한테 뭐라고 했는지 아세요?” K 씨는 당연히 “미안합니다”를 예상했다. 그러나 돌아온 대답은 “아저씨, 날 언제 봤다고 반말이야”. K 씨는 침묵할 수밖에 없었다.

기자는 최근 큰 회사들이 많은 서울 여의도의 한 국밥집에서 불쾌한 경험을 했다. 종업원들이 한결같이 ‘밥 좀 빨리 먹고 나가라. 그래야 다음 손님을 받지’ 하는 태도였다. 편히 식사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10분도 안 돼서 “불편해서 못 있겠네요. 포장해 주세요”라고 했더니 종업원이 ‘바쁜데 귀찮게 하네’ 하는 불만스러운 표정을 지었다. 계산하면서 “어떻게 이런 식으로 손님을 대하느냐”고 따졌다. 그래도 시큰둥한 얼굴이었다. 그런데 다른 테이블의 한 중년 남자가 “밥장사 이렇게 하면 안 된다. 이 식당 불친절에 대해 불만이 많다”고 언성을 높였다. 그제야 고참 직원이 “미안합니다”라고 고개를 숙였다. 생면부지의 그 남성이 그렇게 고마웠다. 가게 밖으로 나오며 ‘이런 게 미투(Me Too) 효과인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K 씨와 기자의 차이가 그것이기 때문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017년의 단어’ 중 하나로 미투를 꼽았다. 미 시사주간지 타임은 ‘2017년의 인물(Person of the Year)’로 침묵을 깬 사람들(The Silence Breakers)을 선정했다. 성폭력 피해 고발 운동인 ‘미투(#MeToo·나도 당했다)’ 캠페인을 대표하는 인물들을 표지에 실었다. 미투 캠페인은 세계 80여 개국으로, 방송·연예계뿐만 아니라 정치 비즈니스 분야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퍼져 나갔다. 타임은 “최근 어떤 사회운동보다 (확산 속도가) 빠르다”고 했다. 다른 외신들도 “성폭력 성차별 피해자뿐만 아니라 모든 약자, 모든 마이너리티(소수자)의 외침으로 승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미투 캠페인은 유명한 여론 형성 모델인 ‘침묵의 나선 이론(Spiral of Silence Theory)’과 대비된다. 이 이론은 부서 회식에서 모두 자장면을 시킬 때, 짬뽕을 먹고 싶고도 “그럼 나도 자장면!” 하고 주문하는 심리를 설명한다. 이 이론을 주장한 독일 커뮤니케이션학자 엘리자베트 노엘레노이만은 이렇게 설명한다. “전반적인 의견 분위기(opinion climate)를 따라가지 않거나, 다수나 승자와 동질성을 유지하지 않으면 ‘나만 고립된다’는 불안감에 빠지기 때문이다.” ‘모난 돌이 정 맞고,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는 말씀을 들으며 자라온 우리에겐 이런 심리가 참 익숙하다. “나도 자장면”은 튀지 않으려고 외치는, 소리 있는 침묵일 뿐이다.

제천 화재 참사를 보면서 절감한다. 누군가는 외치고, 누군가 호응해주지 않으면 비슷한 비극은 반복되고 잘못된 작은 일상 하나 바로잡기 쉽지 않다. “비상계단 앞에 물건을 쌓아두면 안 되지 않느냐”고 따져야 한다. 이를 ‘괜한 오지랖’이라고 하지 말고 “나도 같은 생각(미투)”이라고 외쳐야 한다. 그래야 이 세상이 조금씩이나마 나아진다.

2018년 새해를 맞아 ‘바로 나부터 실천하자’고 다짐한다.

부형권 국제부장 bookum90@donga.com
#오늘과 내일#부형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