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꼬인 국정 풀기위해 野에 손내밀어… 대화정치 물꼬

  • 동아일보
  • 입력 2014년 7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朴대통령-여야 지도부 회동]

세월호 참사 이후 사실상 멈춰선 국정시계를 돌리기 위해 박근혜 대통령이 ‘여의도 정치권’에 먼저 손을 내밀었다. 취임 후 처음으로 여야 원내대표를 초청했고 만남을 정례화하자는 제안도 먼저 한 것이다. 야당도 조심스럽지만 마다하지 않을 태세다. 수권 이미지를 쌓기 위한 포석이다. 정치 복원의 긍정적 신호가 나온다. 하지만 청와대와 여의도의 지난 회동은 항상 훈훈하지만은 않았다.

○ 정부조직법 갈등부터 ‘삐걱’

박 대통령이 당선인 신분이던 지난해 2월 북한 핵실험이 예고된 일촉즉발의 상황에 국회를 찾아 여야 대표를 만났다. 당선인으로서 파격적인 행보였다.

긴급회동의 분위기도 좋았다는 평가였다. 문희상 당시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은 “박근혜 정부가 성공하길 바라고 성공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기 위해선 국민과의 소통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박 당선인은 “‘48%를 잊지 말라’는 말을 잊지 않겠다. 다 품고 가겠다”고 화답했다.

그러나 밀월관계는 오래가지 않았다.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에서 표류하고 정부 출범이 지연되면서 관계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박 대통령은 3월 4일 취임 후 첫 대국민 담화에서 “이 문제(정부조직개편)만큼은 물러설 수 없다”고 말하며 야당을 향한 반감을 그대로 드러냈다. 이후 국정원 대선개입의혹 사건 등으로 충돌이 잦아졌다.

돌파구를 찾기 위해 지난해 9월 어렵게 성사된 박 대통령과 여야 당 대표의 3자회담은 오히려 역효과를 냈다. 회담은 결렬됐고 다음 날 박 대통령은 “야당이 장외투쟁을 고집하면서 민생을 외면한다면 국민적인 저항에 부닥칠 것”이라고 비판했다. 노숙 장외투쟁을 하던 김한길 당시 민주당 대표도 즉각 반박 기자회견을 열어 “민주주의 회복을 거부한다면 국민적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 ‘세월호 사고’ 이후 달라졌나


청와대와 야당의 사실상 ‘무(無)소통’ 상태에서 4월 ‘세월호 사고’가 발생했다. 민심 수습책으로 내놓은 2기 내각 개편 과정에서 두 차례 국무총리 후보자가 낙마하는 등 악재에 신음했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집권 2년차 국정운영 동력을 되살리기 위해 총력전에 나서야 할 처지다. 견고하게만 보였던 50% 이상의 지지율도 속절없이 무너지면서 민심의 이반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야당도 현 상황을 즐길 수만은 없다. 여당발(發) 악재가 지속적으로 터졌음에도 반사이익을 보지 못하고 있다. 믿음직한 대안세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지 못하다는 방증이다.

결국 박 대통령은 ‘불통’ 논란을 불식시키고 야당을 국정 동반자로 인정하는 적극적 소통카드를 통해 국정난맥을 해소하겠다는 의지를 굳힌 것으로 보인다. 당분간 박 대통령의 적극적인 소통 행보는 이어질 것으로 보이지만 이날 한 번의 회동이 국정 정상화로 당장 이어질지는 불투명하다. 박 대통령이 야당의 요청을 얼마나 수용할지, 여야가 박 대통령의 요청에 어느 정도 호응할지가 관건이다.

이현수 기자 soof@donga.com
#박근혜 대통령#청와대#여야 지도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