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시대]靑 참모들 안보정국엔 ‘침묵이 金’?

  • Array
  • 입력 2011년 12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정보없다” “전화받기 어렵다”… 김정일 사망 뒤 입단속 분위기천안함-연평도땐 말실수 곤혹

21일 청와대에서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 7대 종단 지도자들의 간담회장에서 심각한 표정으로 얘기를 하는 청와대 참모들. 왼쪽부터 최금락 홍보수석비서관, 천영우 외교안보수석비서관, 하금열 대통령실장. 청와대사진기자단
21일 청와대에서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 7대 종단 지도자들의 간담회장에서 심각한 표정으로 얘기를 하는 청와대 참모들. 왼쪽부터 최금락 홍보수석비서관, 천영우 외교안보수석비서관, 하금열 대통령실장. 청와대사진기자단
청와대가 김정일 사망 정국에서 ‘침묵 모드’를 유지하고 있다. 안보위기 국면을 맞아 최고지휘관인 이명박 대통령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이 시시콜콜하게 설명될수록 불필요한 오해를 살 개연성이 그만큼 높아지고 자칫 민감한 시기에 국론분열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다.

박정하 청와대 대변인은 김정일 사망 사실이 확인된 19일 청와대 입장을 짧게 설명한 후 기자들의 각종 질문에 “이미 발표하고 설명한 내용 이외에 추가로 제공할 정보는 없다”는 취지의 답변을 내놓았다. 청와대는 20일 김정일 조문 여부에 대한 정부 담화문 발표를 앞두고는 아예 대통령수석비서관급 고위 참모들에 대한 전화 취재를 자제해 달라는 요청을 하기도 했다.

류우익 통일부 장관의 정부 담화문 발표 일정도 3분 전 기자들에게 통보됐다. 류 장관은 2∼3분간 담화문을 읽은 뒤 발표장을 떠났다. ‘질문은 받지 않겠다’는 말도 없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국가 위기상황에서 이리저리 설명하지 않는 단호한 리더십을 보여주는 게 일반적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의 이 같은 방침은 지난해 벌어진 천안함 폭침사건과 연평도 포격도발 당시 초기 상황 관리에 성공하지 못했다는 자체 평가에 따른 것으로 관측된다.

천안함 폭침사건 때는 고위 참모가 “북한의 소행으로 볼 근거가 없다”고 해 불필요한 논란을 빚었다. 나중에 민군 합동조사단은 ‘북한 소행’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연평도 포격도발 당일엔 이 대통령이 마치 “확전을 자제하라”고 지시했다는 취지의 설명이 나와 여론의 호된 비판을 샀다.

김승련 기자 sr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