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투데이]‘실물 충격’ 최소화 방안 찾을 때

  • 입력 2009년 5월 20일 02시 57분


최근 주식시장뿐 아니라 부동산시장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전기요금 등 그동안 미뤄졌던 각종 서비스 요금 인상도 시작될 조짐이다. 이런 상황을 지켜보는 대부분의 경제 전문가는 올 하반기에 강한 인플레이션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글로벌 위기 수습 과정에서 너무 많은 자금을 금융시장에 쏟아 부었기 때문이다. 여기에 각국이 인위적인 저금리 정책도 함께 펴고 있기 때문에 이론적으로만 생각하면 경제가 정상화되면 될수록 물가 상승이 찾아올 게 불가피해 보인다. 최근에는 달러 약세로 구리를 비롯한 산업용 원자재 가격마저 들썩대고 있다.

그러나 경제는 이론으로만 움직이지 않는다. 이번 위기 자체도 현재의 경제학으로 설명할 수도 없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도 없다. 모든 경제 현상의 중심에 ‘정부’가 나서서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은 고사 상태의 가계, 기업, 금융기관을 대신해 국가가 재화의 유통과 배분을 책임지고 있다. 그만큼 과거의 경제논리로 인플레이션을 속단하기 어렵다.

지금 세계는 사상 최고 수준의 부채를 갚아가는 과정에 있다. 과거엔 저금리와 감세로 경기를 부양하면 소비가 자연스레 늘었다. 그러나 지금 가계는 저축을 통해 부채를 갚아야 한다. 비록 기업들이 대규모 구조조정을 하진 않았지만 고용시장도 여전히 어려운 상태다. 하반기에 경기가 살아난다 해도 회복 속도가 미미해 소비가 좀처럼 늘어날 수 없는 구조다.

또한 지금 세계는 지난 5∼6년간의 과잉투자 때문에 공급이 넘치는 상태다. 따라서 수요가 늘어 물가가 오를 것 같으면 공장가동률을 높이면 그만이다. 또 이미 자원개발에 많은 돈이 투자됐고 자원부국들도 경제 상황이 어려워 감산을 할 여유가 없는 만큼 향후 원자재 가격 상승도 제한적으로 나타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물가 상승 역시 우리가 감내할 만한 정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오히려 지금은 이보다도 과잉유동성이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가격만 올리는 자산인플레이션이 더 우려된다.

향후 경제가 정상화될수록 정부는 경제의 구조적 문제들이 재차 실물경제에 위협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대응을 해야 한다. 물가상승과 제조업 공급과잉, 실업률 상승, 중소기업의 문제, 재정의 안정성 등이 그것이다. 경기 회복 속도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한국의 대외경쟁력을 확보하고 경제구조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위기 탈출의 유일한 수단이다. 표면적으로만 보이지 않을 뿐 세계는 잠깐의 경기회복기를 틈타 경제의 내성을 높이는 생존게임을 빠르게 진행하고 있다.

홍성국 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상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