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정호 칼럼]삶의 시간, 역사의 시간

  • 입력 2006년 9월 20일 20시 15분


코멘트
나이를 먹는다는 것은 무엇인가. 앞으로 살아갈 시간보다 이미 살아온 시간이 훨씬 길다는 것인가. 삶의 희망보다 삶의 기억이 많은 노인의 존재는 더욱 많은 시간을 앞으로 살아갈 젊은이 눈엔 측은한 인생으로 여겨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면도 있으나 꼭 그렇지만은 않다.

우선 ‘오늘’을 향유하는 삶의 시간에서 노인은 젊은이보다 행복할 수가 있다. 어제의 기억이 빈약한 젊은이에게 오늘 누리는 모든 것은 처음부터 자명한 것처럼 주어진 것으로 별로 신명 날 일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노인에겐 지금 여기 일상적으로 주어진 많은 것이 예전에는 꿈에서나 그려 보던 소중한 것이요, 우리가 오늘 누리는 많은 것이 지난날에 힘겹게 이룩한 ‘성취’로 느껴져 대견하기만 한 것이다.

일제강점기를 산 세대에겐 우리가 ‘우리나라’에서 ‘우리말’로 살고 있다는 사실부터가 감격스러울 때가 많다. 찢어지게 가난했던 소년시절과 청년시절을 살아 온 세대에겐 산업화 이후 우리가 누리는 의식주 생활 모두가 보람 있는 성취 아닌 것이 없다. 그런 것보다도 더욱 젊은이들의 눈엔 띄지 않고 늙은이만이 보고 느끼고 감복할 수 있는 변화로 우리(남한) 산야(山野)의 자연이 있다.

집집마다 연료로 장작을 때던 일제강점기에 우리 주변의 산은 나무가 없어 벌거숭이였다. 게다가 6·25전쟁은 이 벌거벗은 민둥산을 폭탄과 포탄으로 온통 곰보딱지로 만들어 버렸다. 피란 수도로 옮긴 대학에 가기 위해 대전에서 부산으로 가는 차창 밖으로 본 그것이 1950년대 우리의 국토요, 우리의 자연이었다. 한국의 산야가 지금은 울창한 나무숲으로 파래져 있다. 우리는 그걸 몰랐지만 20여 년 만에 한국을 찾은 6·25 참전 외국 군인이 보고 놀라서 맨 먼저 우리를 깨우쳐 줬다.

산업화를 추진하고 민주화를 쟁취한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것을 우리 당대에 이룩할 수 있으리라는 것을 의심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허허벌판에 나무를 심어 이 땅의 자연이 녹음으로 뒤덮이리라는 것은 꿈은 꾸어도 우리 당대에 이뤄지리라곤 생각지 못했다. 산업화는 ‘압축 성장’으로, 민주화는 급격한 혁명으로 가능하지만 자연의 녹화는 그러한 속성(速成) 수단이 통하지 않는다.

나무는 압축 성장할 수 없고 산야는 혁명적 수단으로 속성 녹화될 수 없다. 살아 있는 한 나무가 자라기 위해선 나무가 사는 삶의 시간이 필요하고 한 나라의 자연이 녹화되기 위해선 긴 역사의 시간이 필요하다.

나이를 먹었다는 것은 스스로의 삶의 시간으로 이미 역사의 시간을 가늠할 수 있게 됐다고 한다면 주제넘은 말이 될까. 가령 영국의 앨런 불럭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것을 보고 20세기의 문양을 이루고 있던 가장 큰 두 매듭이 풀어져 버렸다고 술회한 일이 있다. 히틀러 독일의 제3제국과 스탈린의 소비에트제국.

그러나 ‘천년제국’을 노래한 제3제국은 닭띠(1933년·계유·癸酉)에서 닭띠(1945년·을유·乙酉)로 겨우 12년 지지(地支)의 한 바퀴를 돌고 몰락하고 말았다. 말하자면 제3제국의 전 역사시간이 내 삶의 시간의 극히 짧은 한 토막밖에 되지 않는다. 인류사 발전의 미래를 독점한 듯한 사회주의 소비에트제국의 전 역사시간(1917∼1990년)도 따지고 보니 겨우 내가 살아 온 삶의 시간에 불과하다. 한국을 병탄하고 아시아 전역에 침략전쟁의 재난을 몰고 왔던 대일본제국의 역사시간(1868∼1945년)도 소비에트제국의 그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독일인의 삶은 제3제국의 12년 역사의 교훈에서 크게 배우고 있다. 그에 비해 일본인은 대일본제국의 역사시간을 다시 한번 살아 보자 꿈틀대는 것일까. 옛 소비에트제국의 주민들이 그들의 지난 역사시간에 넌더리를 내고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 한국인은? 대한민국의 역사시간도 이제 곧 갑년(甲年)을 맞는다. 그것은 여러모로 성취와 발전과 보람의 역사라 해서 좋을 것이다. 한 가지를 빼놓고는…바로 60년 헌정사에서 단 한 번도 성공한 사례가 없는 대통령제라는 권력구조 말이다.

역사의 시간을 모르는 젊은이들은 그들의 삶의 시간에 실패가 뻔한 권력구조로 다시 또 한 차례 역사시간을 반복하려 할 것인가.

최정호 울산대석좌교수·객원大記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