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횡설수설]에이즈감염자의 사후관리

  • 입력 1997년 11월 28일 20시 29분


▼에이즈가 가장 심각한 지역은 아프리카다. 전 세계 에이즈 감염자 가운데 60%가 넘는 1천4백만명이 아프리카에 살고 있다. 에이즈가 지금처럼 확산된다면 2010년 상당수 아프리카 국가의 평균 수명은 30대 초반이 될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아프리카 다음은 아시아다. 현재 아시아의 감염자수는 7백만명이지만 여러 여건을 감안할 때 곧 아프리카를 추월할 것이라는 예측도 나와 있어 충격적이다 ▼우리도 전부터 에이즈 비상이 걸린 상태다. 보건당국이 확인한 국내 감염자 수는 7백명 정도지만 실제로는 수천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여기에 빈번한 해외교류와 외국인 근로자의 급증 등 에이즈 공포를 가중하는 요인들이 곳곳에 널려 있다. 따라서 에이즈 감염자를 바라보는 일반인의 눈길은 두렵기 그지없다. 드러내놓고 말은 못해도 감염자를 격리시켜 수용했으면 하는 시각까지 있다 ▼에이즈 감염자의 입장에서 보면 사정은 다르다. 감염 사실 하나만으로 세상이 무너지는 듯한 충격인데다 가까운 친구나 심지어 가족들로부터도 외면당하고 직장생활도 불가능하다. 보건당국은 상담이라는 명목으로 이것저것 따지고 든다. 결국 사회가 미워지고 때로는 보복심리가 생기기도 한다. 이같은 에이즈 감염자의 사후관리와 사생활 보호 문제가 최근 보건당국의 이슈로 떠올랐다 ▼논쟁의 핵심은 감염자의 신원을 노출시키는 현 제도가 과연 에이즈를 막는 데 효과적이냐는 점에 모아진다. 환자의 익명성을 인정해주면서 진료를 보장해주는 것이 오히려 확산을 막는 길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신분 보장이 되지 않는 한 다수의 감염자들은 숨어 지내는 쪽을 택할 것이기 때문이다. 정부도 에이즈 관련 단체들의 이같은 의견을 수용하려는 태세지만 이로 인해 에이즈 관리에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각별히 신경써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