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살기 좋은 전북으로 오세요”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월 29일 03시 00분


코멘트

지난해 인구 1만 명 이상 유출… 청년 인구 유입 위한 정책 추진
정착지원금 최대 360만원 지급
보증금 2000만원까지 무이자
청년 마을 선정해 1억원 지원

김관영 전북도지사(앞줄 왼쪽에서 여섯 번째)와 지역 청년들이 27일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일대기를 담은 영화 ‘길 위에 김대중’을 관람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
김관영 전북도지사(앞줄 왼쪽에서 여섯 번째)와 지역 청년들이 27일 전주디지털독립영화관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의 일대기를 담은 영화 ‘길 위에 김대중’을 관람한 뒤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전북도 제공
전북의 중소기업에 다니던 A 씨(30)는 지난해 서울로 이사했다. 사람 많고 일자리 많은 곳에서 꿈을 키워가기 위해서다. A 씨는 “1년 동안 회사에 다니면서 받은 월급으로는 생활이 여의치가 않았고 발전 가능성이 낮은 것 같아 지역을 떠나게 됐다”고 했다.

지난해 1만 명이 넘는 주민이 전북을 떠났다. 인구 유출이 매년 지속되는 가운데 전북도는 지역사회의 버팀목이 될 청년들을 붙잡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한다.

28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전북 인구는 175만4757명이다. 전년 176만9607명보다 1만4850명이 줄었다. 전북 인구는 2000년 200만 명 선이 무너진 이후 2021년 178만6855명으로 180만 명 선마저 붕괴됐다.

10년 전인 2013년(187만2965명)과 비교하면 10년 새 11만8208명이 줄었다. 해마다 1만 명 이상 인구가 줄어든 것이다. 인구는 농촌과 도시를 가리지 않고 감소하고 있다. 완주군과 순창군을 제외한 12개 시군에서 인구가 줄었다.

인구 감소는 좋은 일자리를 찾아 떠나는 청년들이 주된 요인이다. 매년 전북을 떠나는 전체 인구 가운데 60% 이상이 20, 30대 청년층이다. 전북도가 청년들이 고향을 등지는 것을 막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이유다.

전북도는 우선 청년인구 유입과 안정적인 지역 정착을 위해 최대 360만 원 정착지원금을 지급한다. 지원 대상자는 전북에 1년 이상 살면서 농업·임업·어업·중소기업 등 지역 산업에 종사하는 18∼39세 청년으로, 가구 중위소득이 180% 이하여야 한다.

청년 3000명에게 혜택을 준다. 지역별로는 전주 1329명, 익산 479명, 군산 437명, 정읍 143명, 완주 159명, 남원 101명, 고창 56명 등이다. 지원금은 월 30만 원씩 최대 1년간 360만 원을 신용(체크)카드 연계 포인트 방식으로 지급한다.

건강관리, 자기 계발, 문화 레저 등 분야 도내 사업장에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전북 청년 지역 정착 지원사업 누리집이나 전북 청년 허브센터에 접속해 다음 달 8일까지 신청하면 된다.

그동안 기초생활수급자와 신혼부부에게만 제공하던 임대보증금 지원사업을 올해부터는 미혼 청년까지 확대한다. 전북도는 2026년까지 신혼부부와 미혼 청년 총 4000가구 이상에 임대보증금을 최대 10년간, 2000만 원까지 무이자로 지원한다. 올해는 우선 745가구에 153억 원을 지원한다. 18∼39세 미혼 청년으로 시군과 한국토지주택공사(LH) 또는 전북개발공사가 공급한 공공임대주택에 거주하면 신청할 수 있다.

또 전북도는 ‘2024 전북 청년 마을 만들기’ 사업에 참여할 청년단체를 모집한다. 2022년부터 시작된 이 사업은 지역 특색에 맞는 청년 마을을 발굴해 지역과의 교류·협력 등을 지원한다. 올해는 5개 마을을 선정해 1억 원씩 지원할 계획이다. 5인 이상으로 구성된 청년단체나 기업이며 마을 소재지는 인구 감소 지역이면 신청할 수 있다. 사업에 관심 있는 청년단체는 다음 달 8일까지 거주지 시군에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하면 된다.

전북도 관계자는 “지역에서 일하는 청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며 “청년들이 지역에 정착해 안정적인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청년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영민 기자 minpress@donga.com
#김관영#전북도지사#청년#인구#유입#정책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