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살 되면 산타 의심…‘진실’ 물어보면 이렇게 답하세요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12월 23일 14시 53분


코멘트
(게티이미지)
(게티이미지)
아이들은 보통 8세가 되면 산타클로스의 존재를 의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친구의 말을 듣고 산타를 불신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산타가 진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되는 순간 일부 아이들은 진실을 알았다는 사실에 뿌듯함을 느끼지만, 일부는 슬픔에 빠지거나 부모에 대한 신뢰감 하락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미국 텍사스대 심리학과 교수인 캔디스 밀스는 산타를 더 이상 믿지 않는 6∼15세 48명과 부모 44명 성인 383명을 인터뷰한 결과를 공개했다.

그 결과 아이들 대부분은 8살 무렵에 산타에 대한 불신이 깊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는 이미 3∼4세에 ‘산타는 없다’고 확신했지만, 일부는 15∼16세까지 산타의 존재를 믿었다고 답했다.

이들의 믿음을 무너트린 것은 친구들의 말이 결정적이었다.

밀스 교수는 “아이들은 ‘어떻게 산타가 하룻밤 안에 전 세계를 돌아다닐 수 있을까?’라는 논리적 추론으로 의심을 품었을지도 모르지만, 그들을 벼랑 끝으로 밀어붙이는 것은 ‘산타는 가짜’라고 말하는 학교 친구”라고 설명했다.


산타가 없다는 이야기를 들은 아이 3명 중 1명은 슬픔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느꼈다고 한다. 보통 이런 감정은 경미하고 오래 지속되지 않았지만, 성인 10명 중 1명은 지속해서 슬픔을 느꼈고 부모에 대한 신뢰감도 떨어졌다고 밝혔다.

실망감이 나타나는 아이들은 산타가 진짜가 아니라는 사실을 갑작스럽게 알게 되거나 부모가 자녀에게 산타의 존재를 강하게 인식시켰던 경우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산타가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였을 때 행복감이나 안도감을 느꼈다는 아이들도 많았다. 이런 아이들은 일종의 “수수께끼를 푼 것 같은” 기분을 느꼈다고 한다. 논리적으로 설명이 안되는 부분에 대한 해답을 찾은 것이다.

다만 조사 대상자 대부분은 자기 경험과 상관없이 산타 전통을 계속 이어갈 것이라고 답했다.


인터뷰한 성인 중 한명은 부모가 거짓말을 하지 말라고 가르쳐 놓고는 스스로 거짓말을 했다는 사실에 심한 배신감을 느꼈다고 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 부모는 자녀의 감정을 인정하고 명절 전통에 산타가 있는 이유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충격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밀스 교수는 조언했다.

밀스 교수는 부모가 만약 자녀로부터 ‘산타가 어떻게 좁은 굴뚝으로 들어가나요?’, ‘굴뚝이 없는 집에는 어떻게 들어가나요?’ ‘산타가 진짜인가요?’ 같은 질문을 받는다면 “흥미로운 질문이구나” “넌 어떻게 생각해?” 등으로 반문하면서 아이와 가볍게 토론해보라고 조언했다.

또 아이들은 산타를 계속 믿고 싶어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진실도 알고 싶어 하기 때문에 아이들이 어떻게 이야기 하는지 잘 파악해 보라고 조언했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pt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