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 인문학자 권대영 한국식품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세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한식에 담긴 인문학적 통찰을 선보입니다.
기사 21
구독 25
우리나라의 ‘장 담그기’ 문화가 지난해 12월 3일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제19차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 보호협약위원회 회의에서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선정됐다. 우리나라 음식문화로는 김장 문화에 이어 두 번째다. K푸드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 노력해 온 나에게는 매우 기쁘고 축하할…
세계의 전통음식 발달을 연구하기란 어려울 거라 생각하는데, 접근법이 과학적이면 사실은 그리 어렵지 않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연구가 한자 문헌에 전적으로 의지하다 보니 한자를 아는 사람들만이 하는 것으로 생각돼 더욱 어렵게 느껴졌던 것 같다. 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그 민족의 …
우리 음식의 이름은 그 음식을 만들고 상에 올렸던 우리 어머니 할머니의 말에서 찾아 연구해야 한다. 한때 우리 음식의 어원을 한자에서 찾으려는 사람들이 배운 사람이라 대접받았다. 그래서 김치의 어원이 한자 침채(沈菜)에서 왔다거나 비빔밥의 어원이 골동반(汨童飯)에서 왔다고 이야기하고 …
한식의 대표적인 특성은 밥상과 발효 문화다. 밥상 구조 안에서 밥을 맛있게 먹으려면 항상 맛있는 국과 반찬이 있어야 했다. 그리고 그 맛의 비결은 소금, 장, 양념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맛과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 간수를 뺀 천일염을 넘어 자염(煮鹽), 죽염(竹鹽)까지 다양한 소금을 만…
한중일 음식문화를 이야기할 때 젓가락 길이를 이야기하는 사람이 많다. 중국 젓가락은 우리보다 길고 뭉뚝하고 일본 젓가락은 우리보다 길이가 짧고 뾰족하다고 한다.중국은 농경학적으로 기름이 풍부하여 300~400도 이상의 온도에서 하는 요리가 많다. 이 방법이 중국에서 전통이 되기 전까지…
발효식품인 한국 김치의 독특성과 건강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런데 이미 퍼져 있는 김치에 대한 왜곡된 이야기가 김치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대표적인 왜곡 주장은 ‘한국에서 중국의 파오차이, 일본의 쯔께모노, 독일의 사우어크라프트와 같은 절임류를 오랫동안…
우리 민족은 정(情)이 많은 민족이라 한다. 왜 유난히 우리만 정이 많은 민족일까? 결국 빵 문화와 밥 문화 차이이다.서양의 빵 문화는 유럽의 밀 농사와 연관돼 있다. 밀의 특성은 가을에 씨를 뿌려 겨울을 나고 봄에 수확하는 품종이다. 따라서 겨울에 비가 많이 오는 기후 특성을 가진 …
수렵채집 시대부터 세계 각 나라 고유 음식의 발달 역사를 보면, 주위 나라를 모방하여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지역의 지리적, 생태적 특성을 이용하고 극복하면서 발달하는 걸 볼 수 있다. 고유 전통 음식의 발달은 지식의 문제가 아니라 먹고사는 생존의 문제였다.밥과 장, 김치로 대표되는…
불과 50년 전 서양문화가 들어오고 패스트푸드가 우리나라에 알려질 때 만해도 몇몇 미래학자들은 한식은 21세기에는 없어질 음식으로 예언하였다. 그 이유로는 맛과 영양이 그리 뛰어나지도 않은데, 요리하는 데 시간이 많이 들고 설거지하는 데도 품이 많이 들어 기계화되고 자동화되는 미래에는…
유독 우리나라에서 음식 분야에는 통설이 많다. 대표적인 것이 ‘고추가 임진왜란 때 들어왔다’이다. ‘김치 역사가 150여 년밖에 안 된다’는 주장도 이 통설을 붙들다 보니 나온 것이다. 우리 음식의 역사를 송두리째 부정하는 통설이다. 세계 어느 전통 발효 식품도 100∼200년 만에 …
한자 표현을 갖고 우리 음식을 이야기할 때는 매우 조심하여야 한다. 청국장을 나타내는 ‘시(豉)’는 기원전 중국의 문헌을 포함해 우리나라 문헌에 이미 많이 나온다. 중국 문헌인 박물지에 “중국에 청국장(豉)이 오랑캐에서 들어왔다”고 되어 있고, 우리나라 삼국사기 등에도 결혼 예물로 시…
우리 음식의 뿌리를 제대로 이야기하려면 우리 한식을 조상들로부터 전수받아 오고 직접 만들어 주신 할머니의 이야기를 빼면 안 된다. 할머니가 말하는 우리 음식 이야기에는 ‘음식을 어떻게 만들어 먹여 자식을 키우고 집안을 어떻게 지켜 왔는가’가 있다. 그러나 유교 정책을 펴온 조선시대부터…
장마철이다. 서울 경기 지방에는 며칠 전까지 비가 옹골지게 쏟아지더니만 지금은 잠시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 이렇게 비가 오면 사람들이 생각나는 음식이 있다. 부추전이나 파전, 수제비나 칼국수로 이른바 솔푸드(soul food)라 불리는 음식들이다. 특히 1970년대 전후로 산업화가 …
지난번 칼럼에서 김밥 김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한 바 있다. 이에 많은 분이 김의 역사에 대하여도 문의해와 김의 역사를 앞당겨 이야기하고자 한다. ‘김’은 소위 바다에서 나는 ‘풀’이라고 말하는 해조류로 미역, 다시마, 우뭇가사리, 파래 등과 같이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먹어온 음식이다…
전분으로 구성된 쌀로 해 먹는 밥이나 떡은 식으면 노화(老化·retrogradation)가 일어나 밥이 굳어지거나 떡은 딱딱해져 쉽게 먹을 수 없다. 그래서 노화를 방지하려고 놋쇠 밥그릇에 퍼서 뚜껑을 덮어 이불 속에 넣어 두었다가 점심때 꺼내 먹었던 것이다. 떡은 아무 때나 먹을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