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흔든 도우미, CCTV에 찍혔지만…‘무죄’ 이유는?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8월 30일 09시 36분


코멘트
뉴시스
아동학대 혐의로 기소된 산후도우미의 재판에서 동의하지 않은 폐쇄회로(CC)TV 영상은 유죄의 증거로 사용될 수 없다는 법원의 판단이 나왔다.

30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형사27단독 함현지 판사는 아동복지법 위반(아동학대) 혐의로 기소된 산후도우미 50대 A 씨와 60대 B 씨에게 각각 무죄를 선고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업체 소속 A 씨는 2020년 11월 산모 C 씨의 집 작은방에서 양반다리를 한 채 생후 10일 된 신생아의 머리를 왼쪽 허벅지에 올려두고 다리를 심하게 흔들어 신체의 손상을 주거나 건강·발달을 해치는 학대를 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2020년 1월 또 다른 산모 D 씨의 집에서는 생후 60일 아기를 흔들어 학대한 혐의로도 기소됐다. A 씨는 아이를 태운 유모차를 빠르게 밀고 당겼고, B 씨는 짐볼 위에 앉아 아이의 목을 완전히 고정하지 않은 상태로 안고 분당 80∼90차례 위아래로 반동을 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모습을 촬영한 CCTV가 증거 능력이 있는지가 재판의 쟁점이었다.

C 씨 측은 동의를 받고 CCTV를 설치했다고 주장했지만 A 씨는 자신이 지냈던 방의 CCTV가 고장 났다고만 설명을 들었을 뿐 촬영되는 것을 몰랐다고 진술했다.

아울러 C 씨 측은 촬영목적과 촬영되는 부분, 촬영 영상의 보관 기간이나 촬영을 거부할 수 있는 권리 등은 알리지 않았다고 시인했다.

이에 재판부는 해당 CCTV가 ‘위법하게 수집한 증거’라고 판단했다. 또 두 집에서 촬영된 CCTV는 모두 원래 속도보다 1.5∼2배 빠른 속도로 재생되는 파일이었다. 재판부는 아이를 흔들었다는 점이 주된 혐의인 이번 사건에서 유죄를 입증하는 증거로 사용하기엔 부적합하다고 봤다.

재판부는 위법하게 수집된 증거를 예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가정하더라도 유죄로 인정할 수 없다고 판시했다. 재생속도에 문제가 있던 D 씨 CCTV는 검찰이 원래 속도로 복원해 추가 제출했지만 재판부의 판단은 바뀌지 않았다.

재판부는 “‘흔들림 증후군’이 발생하는 20초간 40∼50회 흔든 사례에 미치지 못하며 아이들의 건강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양육자 입장에서는 보기에 바람직하지 않은 돌봄이라고 볼 수는 있어도 형사 처벌의 대상이 되는 정도에 이르렀다고 판단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김예슬 동아닷컴 기자 seul56@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