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합동점검에 ‘일타 강사’ 강의 잇단 폐강·연기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0일 14시 51분


코멘트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모습. 뉴스1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학원가 모습. 뉴스1
교육당국이 ‘사교육 카르텔’과 더불어 합동점검 등 대대적인 단속에 나서면서 일선 학원가에 비상이 걸린 모양새다.

유명 강사와 대형 입시학원의 강의도 잇따라 폐강·연기되고 있다. 문제를 바로잡는 과정이 불가피한 과정이라는 목소리가 나오는 한편 수험생·학부모의 불만·불안도 커지고 있다.

10일 교육계에 따르면 강남 한 학원의 유명 과학탐구 강사 A씨는 지난 7일 수강생들에게 문자를 돌리며 폐강을 통보했다.

문자 내용에 따르면 A씨는 강의실 면적 확보를 위해 자신이 운영하는 B학원 대신 C학원에서 강의를 진행했다. 최근 이에 대한 교육청 지적을 받은 A씨는 급하게 다른 강의 장소를 알아봤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아 결국 폐강을 결정했다.

A씨는 수강생들에게 돌린 문자를 통해 “교육청에서 ‘수납은 A학원에서 했는데 수업을 B학원에서 하는 것은 안 된다’고 했다”며 “어쩔 수 없이 수업을 폐강하게 됐다. 수강료와 교재비는 전액 환불하겠다”고 했다.

A씨가 본인이 운영하는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밝힌 파이널 정규반 등록자는 2233명이었다.

이미 지난주부터 강남 등 학원가에서는 개강 연기가 속출했다. 시대인재 대치·목동을 비롯해 메가스터디 러셀 등은 단과 강좌 개강을 한 주씩 미뤘다.

현장에서는 이들 학원이 강의실 면적 기준을 맞추기 위한 공사 때문에 개강을 미루고 있다고 보고 있다. 현재 서울시 ‘학원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조례’에서는 강의실 면적은 35~135㎡ 규모로 하되 1㎡당 1명 이하로 수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교재 점검을 이유로 돌연 개강을 늦추는 경우도 있었다.

학원가에서 이처럼 폐강·연기가 속출한 것은 지난달 22일부터 지난 6일까지 교육부와 서울·경기교육청이 실시한 합동점검의 영향으로 보인다. 교육당국은 사교육 카르텔·부조리 신고센터 운영과 별개로 합동점검에서 25개 학원에 대해 교습정지·벌점부과·시정명령 등 행정조치를 내렸다.

이 같은 점검은 기존에도 시·도교육청이 해오던 것은 맞지만 현장에서는 교육당국이 대대적인 사교육 잡기에 나서면서 이전보다 강화된 형태로 단속이 이뤄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다만 교육당국은 꼭 사교육 집중단속 때문에 단속이 강화된 것만은 아니라는 입장이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학원 점검은 11개 교육지원청에서 위임받아 매달 혹은 기간을 정해 강력하게 현장점검과 지도를 하고 있다”며 “그간의 학원 점검이 형식적으로 이뤄졌다는 데는 오해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집중점검 기간 이후 교육부에서 교육청으로 이관된 자료를 토대로 신속·엄중하게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장에서는 잘못된 관행 등을 바로잡기 위해 불가피한 과정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120여일 앞두고 수험생·학부모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불만이 나온다.

한 온라인 학부모 커뮤니티 이용자는 “교실이 너무 작기는 하다. 허리도 못 펴고 무릎은 앞사람 엉덩이에 닿았다”며 “대형 입시학원은 몇 년 전 교육청 개선 권고를 받아 개선된 것으로 아는데 그 공사 때문에 또 이렇게 수업 개강이 연기되니 멘붕(멘털 붕괴)”이라고 토로했다.

다른 커뮤니티 이용자는 “한주 뒤라도 정상적으로 개강되길 바랄 뿐”이라며 “그러지 않아도 힘들 고3들은 이제부터 달려야 할 때인데 답답하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