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엔데믹, 끝 아닌 시작…제2의 코로나 대응 준비한다

  • 뉴스1
  • 입력 2023년 5월 11일 11시 07분


코멘트
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이 사실상 막바지로 접어든 가운데 제2의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을 막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예방 백신과 치료제 기술 발달만큼 바이러스도 진화한다. 정부와 산업계는 다가올 감염병을 준비 중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11일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열어 감염병 위기 단계 하향 조정 방안을 확정했다. 이날 윤 대통령은 대국민 담화를 통해 코로나19 비상사태가 끝났음을 선포했다.

지난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3년 4개월 만에 일상 회복 시기로 접어드는 것이다. 하지만, 방역당국과 제약·바이오 산업군에서는 새로운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준비 기간의 의미가 크다.

세계 유행 신종 감염병은 더 자주, 크게 발생하는 추세다. 2003년 사스(SARS) 유행 이후 신종 플루는 2009년, 메르스(MERS)는 2015년으로 6년 주기로 나타났다. 여기에 코로나19는 4년 뒤인 2019년 창궐했다.

이 기간 피해 규모는 매번 증가했다. 2009년 신종 플루는 세계적으로 확진자 30만명, 사망자 3917명의 피해를 낳았다. 이후 등장한 코로나19는 현재까지 6억명 이상의 확진자와 700만명 이상의 사망자를 발생시키며 최소 1경6815조원의 피해를 가져왔다.

질병관리청은 이와 같은 추세를 기반으로 최근 신종 감염병 대유행 대비 대응을 위한 중장기 계획 초안을 발표했다. 이 내용을 보면 코로나19 엔데믹 이후는 새로운 팬데믹을 대비하는 ‘대유행 간기’(Inter-pandemic)로 신속한 준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향후 신종 감염병 대응 목표는 △유행 100일 또는 200일 이내 백신·치료제 등 대응 수단을 확보 △일일 확진자 100만명 대응 가능한 체계 구축 △취약계층 보호 방안 마련을 중심으로 한다.

세부 방안은 아직 논의 중이지만, 신종 감염병 예방과 조기 감지 시스템을 강화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해외 협력을 비롯 의료 대응 인프라 확충과 진단 역량 강화, 백신·치료제 확보와 연구개발 지원 등 체계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산업계에서도 자체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해외 협력과 새로운 기술 도입과 연구개발에 적극 나서는 중이다. 국산 코로나19 치료제 ‘렉키로나주’를 선보인 셀트리온은 미국 트라이링크와 mRNA 백신 플랫폼 개발에 나섰다.

또 국산 코로나19 예방백신 ‘스카이코비원’ 상업화에 성공한 SK바이오사이언스는 글로벌 기관 협력을 통한 mRNA 기술 연구를 추진하고, 오는 2025년까지 송도에 글로벌 연구센터를 마련해 신종 전염병 대비 시설을 구축한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는 “감염병 발생 주기는 점차 짧아질 것”이라며 “새 환자 발생에 초기 대응이 늦어지지 않는다면 세계적 팬데믹은 막을 수 있는 만큼 평상시에 준비하고 연구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