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줌 유료화땐 비용 지원 검토”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3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먼저 EBS ‘온클’ 안정화 뒤… 현장-교육청과 협의해 결론”

교육부가 원격수업에 활용되는 민간 화상회의 플랫폼 ‘줌(Zoom)’ 이용 요금을 교사에게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줌이 8월부터 학교 계정에 대해서도 무료 이용 시간을 제한키로 한 것에 대한 대책이다.

교육부는 1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줌이 ‘유료화’하면 교사가 개인 돈을 들이기보다 지원 예산으로 쓸 수 있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상당수 학교가 실시간 쌍방향 원격수업 때 줌을 사용하고 있다. 3명 이상 이용 시 40분까지만 무료다. 이를 초과하면 요금을 결제해야 한다. 하지만 줌의 운영정책에 따라 학교는 40분 이상 수업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었다. 최근 줌은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7월 31일로 시간 초과 무료 혜택을 없애기로 했다.

국산 공공학습관리시스템(LMS)이 불안정한 상황에서 줌 이용 방식 변경에 따른 교사들의 우려가 커지자 교육부가 지원 방안 검토에 나선 것이다. 예산 지원이 이뤄진다면 바우처를 지급해 이용권을 구매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다만 교육부는 LMS 안정화가 먼저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일단 EBS 온라인클래스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의 e학습터의 쌍방향 기능을 안정화시켜야 한다”며 “현장 의견과 교육청 협의를 거쳐 향후 줌 이용권 지원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LMS 오류가 조금 나오지만 회의용인 줌과는 달리 수업용으로 만들어진 만큼 교사들이 선택할 만하다”며 “해외 수출까지 하면 좋겠다는 바람”이라고 덧붙였다.

교육부는 개학 후 계속된 LMS 오류에 대해 이날 또 사과했다. 5일에 이어 두 번째다. 교육부 측은 “오류가 많이 발생한 온라인클래스는 중고교생이 많이 사용하다 보니 분반, 합반 과정 등에서 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나왔다”고 했다. 교육부는 이번 주말 이후 온라인클래스와 e학습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교육부 관계자는 “중요한 오류 원인은 모두 찾았고 이를 수업이 없는 새벽에 계속 바꾸고 있다”며 “기술자도 더 많이 투입해 주말에 보완하면 공공 LMS가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
#교육부#줌#유료화#비용 지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