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전기차 메카’ 도전은 시작됐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3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자동차 매연 없는 섬 만들자”… ‘2030 탄소 제로 지역’ 만들기 시동
전기차 구입 보조금 등 지원 박차… 충전 인프라 확충 등 난제도 많아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제3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서 참가자들이 전기차 시뮬레이션을 경험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였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고 있는 제3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에서 참가자들이 전기차 시뮬레이션을 경험하는 등 높은 관심을 보였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20일 제주 서귀포시 중문관광단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 5층 탐라홀. 제3회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의 눈이 휘둥그레졌다. 일반 차량과 다른 디자인과 내연기관으로 꾸며진 전기차가 신기하기만 했다. 한 전기차 업체가 마련한 시뮬레이션 체험장에서는 관람객이 길게 줄을 서는 등 행사장이 성황을 이뤘다.

전기차의 현재와 미래를 선보이는 이번 엑스포는 18일 개막해 24일까지 이어진다. 지난해(75개 기업)의 2배에 가까운 145개 기업이 참여했다. 회의와 세션 참가자도 지난해 16개, 1800여 명에서 올해 34개, 2000여 명으로 늘었다. 전기차를 비롯해 전기오토바이, 전기자전거, 배터리 등 다양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일반 참가자는 전기차를 직접 시승하며 성능을 확인하는 자리였지만 전기차 생산업체 사이에선 국내 시장을 장악하기 위한 물밑 경쟁이 치열했다. 현대차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신형차인 ‘아이오닉 일렉트릭’을 공개했고, 르노삼성은 현재 판매 중인 ‘SM3 Z.E.’와 1, 2인승 초소형 전기차인 ‘트위지’를 선보이며 맞불을 놨다. 한국닛산은 ‘리프’, 기아차는 ‘쏘울 EV’, BMW는 ‘i3’를 전시했다. 전시 행사뿐만 아니라 ‘글로벌 전기자동차(EV) 리더스 협의회’ 발족, 전기차 확산을 위한 제1회 국제표준포럼 개최 등으로 제주지역이 국내 전기차 중심지로 발돋움하고 있다.

○ 전기자동차 메카를 향해

제주도는 2012년 섬 전역을 자동차 매연이 없는 ‘2030 탄소 제로 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본격적인 도전을 시작했다. 전기차 보급을 2017년 2만9000대, 2020년 9만4000대로 확대한 뒤 2030년에는 운행하는 전체 차량인 37만7000여 대를 전기차로 대체하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전기차에 필요한 전기를 풍력 등 청정에너지로 공급한다는 야심 찬 구상이다.

지난해 말까지 제주지역엔 2366대의 전기차가 보급됐다. 올해는 정부 보급물량 가운데 50%가량인 4000대가 제주지역에 배정됐으며 전기차 구입 보조금으로 대당 1900만 원(국비 1200만 원, 지방비 700만 원)을 지원한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탄소 없는 섬을 실현하기 위해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지능형 전력망), 전기저장장치 등의 관련 기술과 산업을 망라한 ‘그린 빅뱅’ 전략을 가시화하는 원년이 되도록 하겠다”며 “우선 제주를 전기차 규제가 없는 중심 모델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풀어야 할 숙제 많아

제도 개선은 물론이고 전기차 공급 과정에서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충전 인프라는 전기차 확산을 막는 현실적인 요인이다. 지난해 전기차 보급 대상자 1488명 가운데 22.6%인 337명이 전기차 구매를 포기했다. 상당수가 충전기 장비 및 설치에 대한 불만에 따른 것으로 조사됐다. 대단위 아파트는 충전기를 설치하면 주차장을 독점한다는 이유를 들어 난색을 표명하고 있으며 10∼30가구 다가구 주택 등에서도 충전기 설치 장소를 놓고 마찰을 빚고 있다.

전기차의 배터리 효율성에 대한 의구심도 여전하다. 한 번 충전으로 150∼180km를 운행한다고 하더라도 3, 4년이 지나면 배터리 성능이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사고가 나면 수리비로 상당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현실도 전기차를 꺼리는 이유가 되고 있으며 정부 및 지자체 지원금이 중단되면 전기차 확산에 곧바로 제동이 걸린다.

현대차 관계자는 “한 번 충전으로 제주 섬을 한 바퀴 돌 수 있을 정도로 전기차에 적합한 환경을 갖추고 있다”며 “전기차 생산 및 판매 자체로는 수익이 없기 때문에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의지와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재영 기자 jy788@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