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천일염 생산업자들 “제값 못받는다” 속앓이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10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식품’ 인정뒤 시설투자 부담 늘고 가격 널뛰기-다단계 유통에 시름
“수매량 늘리고 경매제 도입해야”

갯벌이 내려준 자연의 선물인 ‘천일염’이 식품으로 인정받은 지 6년이 됐다. 생산자들은 천일염을 명품으로 만들기 위해 염전 바닥재 등 각종 시설을 친환경 자재로 바꾸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소금산업진흥법을 개정해 천일염 명품화를 돕고 있다.

생산자들은 천일염 명품화가 부분적으로 성과를 거두고 있지만 산지 가격이 여전히 생산량에 좌우되는 데다 유통단계가 복잡해 생산자들이 제값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소금 수매량을 늘리고 경매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남도와 대한염업조합은 올해 전국 천일염 생산량이 37만 t에 kg당 가격은 230∼250원 선에 형성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올해 전남지역 천일염 생산량은 33만 t가량으로 전망된다. 전남은 전국 천일염 70% 이상을 생산하는 주산지다. 전남은 올여름 무더웠고 태풍이 오지 않아 생산량이 평년보다 10% 이상 늘어났으나 충청지역 등은 잦은 비로 생산량이 조금 줄었다.

천일염은 2008년 3월 광물에서 식품으로 전환되면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천일염이 식품이 됐지만 여전히 생산량에 따라 산지 가격이 좌우되고 있다. 천일염 kg당 가격은 2007년 133원(전국 생산량 30만 t), 2008년 230원(38만 t), 2009년 200원(38만 t), 2010년 280원(22만 t), 2011년 600원(37만 t), 2012년 310원(32만 t)이었다. 2011년에는 일본 원전사태로 생산량에 상관없이 천일염 가격이 폭등했다.

대한염업조합 관계자는 “천일염이 식품으로 인정받았지만 5년 전이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염전들은 천일염이 식품으로 인정받자 생산시설을 친환경 자재로 바꾸는 데 공을 들이고 있지만 가격은 제자리를 맴돌아 적자라고 호소한다. 박형기 전남 신안군 천일염생산자연합회장(55)은 올해 증도 태평염전 1ha(약 3000평)의 바닥과 해주(소금물 저장시설), 소금창고를 친환경 자재로 교체하는 데 자비 부담액 2억 원 정도가 들었다. 현재까지 신안군 염전(전체 950곳)의 55% 정도가 시설을 저공해 장판이나 친환경 자재로 교체한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업자들은 국내 천일염 생산량이 35만 t을 전후해 가격이 폭등하거나 폭락한다고 주장한다. 35만 t을 넘어서면 값이 폭락하고 그에 못 미치면 값이 오른다는 것이다. 이 같은 천일염 가격 변동을 막기 위해 수매제도 확대가 필요하다는 게 생산자들의 주장이다. 정부가 올 7월 처음으로 천일염 수매제를 시행했지만 수매량은 전체 생산량의 1.3%(4600t)에 불과했다.

6단계나 되는 천일염 유통단계와 중간 상인들의 유통마진을 줄이기 위해서는 경매제도를 도입해 품질에 따른 선별과 유통마진 절감이 이뤄져야 제 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전남도 등은 천일염 명품화를 위해 올해 275억 원을 투입하는 등 그동안 염전 친환경시설 개선을 위해 1000억 정도의 예산을 지원했다. 2015년까지 염전 시설 개선을 끝마칠 방침이다. 일부 염전은 명품화 노력과 택배 판매 등을 통해 kg당 500∼2000원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남도는 주로 여름철에 생산되는 천일염이 저장창고가 부족해 헐값에 판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창고를 늘리고 생산자들에게 신용보증을 하는 등 지속적인 지원을 할 방침이다.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천일염#식품#천일염 명품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