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한총련 탈퇴 도미노]50곳중 한총련 지지 8개大뿐

  • 입력 2006년 5월 12일 03시 01분


코멘트
《서울과 지방의 50개 대학 총학생회(총학) 가운데 16%인 8개 총학만이 한국대학생총학생회연합(한총련)의 활동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총련 소속 총학 가운데 동국대 명지대 단국대 경북대 대구가톨릭대 등 5개 대학의 총학이 한총련을 탈퇴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본보가 학생운동의 메카였던 서울대 총학이 10일 한총련 탈퇴를 공식 선언한 것을 계기로 4년제 대학 중 서울 소재 36개 대학과 주요 국립대 등 지방 14개 대학 총학을 상대로 총학의 이념성향과 한총련에 대한 인식 등을 전화로 조사한 결과다. 이들 50개 대학의 총학 가운데 38%인 19개만이 한총련에 가입했다고 응답했다. 경기 평택시 팽성읍 대추리 사태에 대해선 찬반이 엇갈렸지만 폭력적 시위방식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

▽한총련 가입률은 38%=한총련에 가입한 총학은 의외로 적었다. 이들 50개 대학의 총학 가운데 38%만이 한총련에 가입했으며 앞으로 5개 대학이 한총련에서 탈퇴하면 가입률은 28%대로 뚝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총련의 규정에 따라 총학생회장이 대의원이 되어 있을 뿐 사실상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응답한 총학도 있었다. 한총련의 규약상 대학 총학생회장은 당연직 대의원이다. 이 때문에 비운동권 총학생회장도 자동적으로 한총련의 일원이 되며 한총련 탈퇴를 위해서는 학생총회를 열어야 하는 등 절차가 복잡하다.

한총련은 180여 개 총학이 회원이라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 같은 허수가 많기 때문에 공안당국은 실제 40여 개 총학만이 실질적으로 한총련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명지대 최유리(22) 총학생회장은 “나는 비운동권이지만 애매모호한 규정 때문에 한총련 탈퇴가 여의치 않다”면서 “이번 일을 계기로 한총련 탈퇴를 적극적으로 고려 중이다”고 말했다.

전국 50개 총학의 이념 성향을 분석한 결과는 비운동권이 56%(28개)로 운동권보다 조금 많았다.

운동권의 경우 민족해방(NL)을 표방한 총학은 22%(11개)이며 민중민주(PD)를 표방한 총학은 12%(6개)였다.

▽대추리 사태와 폭력에 거부감=50개 총학 가운데 45개 총학이 대추리 사태에 대한 설문에 응했다.

이들 가운데 36%(16개)가 한총련의 대추리 사태 참여에 반대하거나 폭력적 시위 방식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서울시립대 윤성호(26) 총학생회장은 “대추리 투쟁에 참가한 뜻은 이해할 수 있지만 한총련이 일종의 정치권력이라는 느낌을 받았다”며 “농활을 가는 줄 알고 선배를 따라간 1학년생이 대거 붙잡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56%(28개)는 총학이 사회문제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양대 신재웅(23) 총학생회장은 “비운동권 학생회지만 운동권의 활동을 지지하는 입장”이라며 “총학이 사회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총련 변화해야”=응답한 43개 총학 가운데 53%(23개)가 한총련의 변화를 촉구했다.

이들 총학은 학생회의 방향으로 학내복지와 학교 교육권 개선을 꼽았다.

중앙대 김주식(21) 총학생회장은 “대학생이 사회적 고민을 나누는 것은 정당하지만 총학이 학내 문제와 학외 문제에 대해 더욱 성실하게 대처해 학우의 불만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대 사회학과 이재열(李在烈) 교수는 “한총련이 민주화 투쟁시절의 이슈 등 급진적인 이념 및 운동방식을 추구한 것이 위기의 원인”이라며 “한총련의 관심이 학생복지라는 학생회 본연의 관심사항으로 돌아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정세진 기자 mint4a@donga.com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임우선 기자 imsun@donga.com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 클릭후 새창으로 뜨는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우측하단에 나타나는 를 클릭하시면 크게볼 수 있습니다.)


▼大法 ‘이적단체’규정… 盧대통령 합법화 거론▼

“한총련은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가 안고 있는 대중으로부터의 괴리와 비민주성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입니다.”

1993년 한총련 1기 의장 김재용 씨는 모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총련의 출범 배경을 이렇게 설명했다. 당시 한총련 지도부는 전대협의 ‘구국의 강철대오’ 대신 ‘생활, 학문, 투쟁의 공동체’를 슬로건으로 내걸었다.

하지만 한총련 주류 세력은 1기 지도부의 우경화 성향을 비판하며 2기 때 ‘불패의 민족을 개척하는 불패의 애국대오’로 슬로건을 바꾸면서 일반 학생의 정서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한총련은 1996년 8월 12일 통일대축전을 위해 연세대에 모였다가 5800여 명이 연행되고 440여 명이 구속 기소된 사건을 계기로 급속히 쇠퇴했다. 대법원은 1998년 한총련을 이적단체로 규정했다. 비운동권이 각 대학의 총학생회를 잠식하기 시작한 것도 이때부터.

한총련은 2003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한총련의 합법화를 공개적으로 거론한 이후에도 내심 합법화를 기대했지만 여전히 이적단체라는 굴레를 벗지 못하고 있다.

2004년 한총련은 비운동권도 참여하는 학생회를 만들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탈퇴하는 총학생회가 잇달아 위기를 맞고 있다. 한총련은 최근 평택 사태 등에 대한 비판이 일고 서울대 총학생회가 탈퇴를 선언한 것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한총련의 한 관계자는 11일 본보와 전화 통화에서 “내부 논의를 거쳐 주말경 공식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라며 “서울대 총학생회의 선언은 개별적 입장이므로 서울대 단과대 학생회는 한총련에서 활동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광주=정승호 기자 shjung@donga.com

▼남북대학생대표자회의…금강산 공동결의문 발표▼

남북한 대학생들이 11일 금강산에서 ‘남북대학생대표자회의’를 마친 뒤 공동결의문을 발표했다. ▶본보 9일자 A1·3면 참조

북한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이들은 공동결의문에서 “조국통일의 이정표인 6·15공동선언을 끝까지 고수하고 실천해 나갈 것”이라며 “6월 15일을 ‘우리 민족끼리의 날’로 성대히 기념하기 위한 사업에 적극 참가하고 민족대단합을 실현하기 위한 운동도 적극 벌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또 “그 어떤 외세의 침략정책도 반대하고 외세와 야합하는 반통일 세력을 민족 내부에서 청산하기 위한 운동을 더욱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채택된 공동결의문은 남측 대표자들이 방북 전 한국대학총학생회연합(한총련) 홈페이지에 공개한 결의문 초안의 내용과 대부분 같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연합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