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경제학부 김세원교수 정년퇴임 앞두고 고별강연

  • 입력 2004년 5월 25일 18시 52분


코멘트
국제 경제학계의 거목인 서울대 경제학부 김세원 교수가 8월 말 정년 퇴임을 앞두고 25일 고별 강연을 했다.-권주훈기자
국제 경제학계의 거목인 서울대 경제학부 김세원 교수가 8월 말 정년 퇴임을 앞두고 25일 고별 강연을 했다.-권주훈기자
“동북아 경제통합은 상호 경제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환율정책, 재정, 기술협력 등 강도 높은 경제 협조체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서울대 경제학부 김세원(金世源) 교수가 25일 오후 4시 서울대박물관 강당에서 ‘내가 생각하는 동북아시아 경제통합’이라는 주제로 이뤄진 고별강연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세계 경제통합 연구의 선구자로 1962년 독일 베를린 자유대에서 유럽경제공동체 통합과정을 연구한 뒤 1971년부터 34년간 서울대에 재직하며 많은 연구 성과를 남긴 국제경제학계의 거목. 이날 강연은 8월 말 정년퇴임을 앞두고 한 마지막 강연이었다.

그는 “동북아시아는 미국 EU와 필적할 만한 잠재력을 가진 성장축임에도 구체적인 경제통합 논의가 미흡하다”며 “한국 경제의 장기적 발전을 위해서는 안정된 대(大)시장이 필수적”이라고 동북아 경제통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김 교수는 “그동안 20여차례에 걸쳐 지역 경제통합이 추진돼 왔으나 EU 및 북미자유무역지역(NAFTA)을 제외하고는 거의 성공한 사례가 없다”며 “이를 위해서는 경제적 이득의 실현뿐 아니라 문화적 가치, 역사적 인접성 등 공유할 수 있는 가치가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동북아 3국의 경우 정부주도적 경제성장, 인간적 유대, 공동체 정신 등 동아시아적 가치가 존재하므로 성공적인 통합의 가능성이 타 대륙에 비해 높다는 것.

그는 “동북아 경제통합을 위해서는 장기적 계획과 함께 10년 정도의 과도기가 필요할 것”이라며 “동북아지역에 평화와 안정이 정착될 수 있도록 국가간 합의가 선행돼야 하며 북한의 경우도 준회원국으로 고려하는 등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강연은 2시간여 동안 진행됐으며 김 교수는 “한국이 시장경제를 확고하게 정착시키고 기술혁신에 힘써야만 동북아 경제통합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전지원기자 podrag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