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 인사이드]'개발 사각지대' 경기북부 접경지역

  • 입력 2004년 2월 3일 19시 29분


코멘트
대표적인 낙후지역으로 꼽히는 경기 북부 접경지역의 실태를 보여주는 객관적인 분석 자료가 나왔다.

서울대 지리학과 박삼옥 교수는 최근 대한학술재단에 ‘사회 경제 공간으로서 접경지역 연구’라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에는 이 지역의 삶의 질을 보여주는 각종 지표와 함께 지역 주민들이 느끼는 소외감을 수치로 나타내 관심을 끌고 있다.

▽드러난 낙후도=박 교수가 대상으로 삼은 지역은 접경지역지원법상 경기도에 속하는 시와 군 가운데 고양시를 제외한 김포시, 파주시, 동두천시, 연천군, 포천시, 양주시 등 6개 시군.

경기 남부의 인구밀도가 km²당 1216명인 데 비해 이들 6개 시군은 262명에 불과했다.

의료인 수는 경기도 평균이 1000명당 4.1명이지만 이곳은 2.8명이다.

접경지역 주민들의 예금총액은 2조4776억원으로 경기 남부 지역의 5%에 불과했다. 연천의 경우 조사대상 가구 중 45.8%가 연간 1000만원의 소득을 얻는 데 그쳤다.

자동차 등록대수는 1000명당 327대로 경기도 평균을 넘지만 이는 대중교통수단이 미비해 비싼 개인별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결과로 풀이된다.

하수도 보급률을 2001년 기준 25%로 전국 평균 73.2%에 턱없이 모자란다.

▽소외감=주민들이 느끼는 소외감이 객관적인 지표보다 더욱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살고 있는 시군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 좋다는 평가는 11.1%에 불과했고 좋지 않다고 느끼는 경우는 53.6%나 됐다. 이는 이들 지역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교육, 산업 등이 뒤지면서 주민들의 정주의식이 희박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사실은 자녀들을 이 지역 밖에서 살게 하고 싶다고 대답한 주민이 대다수로 나타난 것에서도 확인된다.

조사대상 중 75%가 계속 현 거주지에 살겠다고 응답했으나 이들 중에서도 자녀들만은 외지로 내보내겠다는 응답은 56%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주민들은 또 접경지역이라고 불리는 것조차 싫어할 정도로 지역정체성을 부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종 규제정책이나 현재 추진되는 일부 개발사업 과정에 주민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못하기 때문인 것도 한 원인으로 지적된다.

▽대안은 없나=현재 접경지역종합계획이 추진 중이다. 경기지역의 경우 국비, 도비, 시비 및 민간자본까지 합쳐 모두 2조4417억여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대부분 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관광자원 확충 사업이다.

그러나 여전히 수도권정비법상의 규제와 군사시설보호구역, 상수원보호구역 등 이중삼중의 규제 때문에 개별 사업이 추진되는 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동영기자 argu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