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노동계 임금인상 가이드라인 3.5%-12.7% 큰 차이

  • 입력 2001년 2월 22일 18시 36분


내달부터 본격화할 임금 단체협상을 앞두고 재계와 노동계의 임금인상률 제시 폭 차가 대단히 큰 것으로 밝혀졌다.

재계는 22일 올해 임금인상률 기준(가이드라인)을 3.5%로 제시했다. 노동계는 이미 12%대의 임금인상을 요구한 바 있다.

경영자총협회는 이날 회장단회의에서 올 경제성장률, 기업의 지불능력, 생산성 수준 등을 고려해 임금조정 지침을 확정했다. 적정 임금인상률은 3.5%로 하되 부실 적자기업은 작년 수준에서 동결토록 했다.

연봉제 취지를 감안해 연봉제 근로자에게는 가이드라인이 적용되지 않도록 했다. 대신 여러 평가를 거쳐 개인별 집단별 성과연동형 보상시스템을 구축해 나가도록 했다.

경총은 또 고용조정이 필요할 경우 임시직이나 계약직 등 비정규인력을 적극 활용하도록 권고했다.

노동계의 경우 한국노총이 임금인상률 12%를, 민주노총이 12.7%를 각각 제시한 바 있다.

민주노총은 경총의 결정에 대해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9%, 물가상승률 2.3%로 임금이 11%이상 올라야 했지만 8% 인상에 그쳤다”면서 “올해는 5%내외 성장률과 3∼4% 물가상승이 예상되는 만큼 3.5% 인상은 말이 안된다”고 주장했다.

또 “연봉제에 가이드라인 적용을 배제한 것은 결국 임금을 깎겠다는 말이고 비정규직 확대는 저임금을 고착시키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국노총도 재계가 물가상승률에도 미치지 못할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노동부 관계자는 “노사간 시각차가 크지만 경제가 어렵다는 공감대가 있어 지난해보다 충돌이 심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임금인상보다 고용안정이 단체협약의 주이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임숙·김준석기자>arteme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