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관위원장도 법조인 검토… “공정한 심사” vs “검사는 안돼”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2월 26일 03시 00분


코멘트

친윤, 비대위와 ‘법조 콤비’ 방침
당내선 “검찰 동일체냐” 우려도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1일 오후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23.12.21/뉴스1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21일 오후 경기도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이임식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23.12.21/뉴스1
국민의힘이 26일 한동훈 전 법무부 장관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임명할 예정인 가운데 이르면 내년 1월 초 지명될 공천관리위원장도 법조인 출신을 임명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윤(친윤석열) 그룹에선 내년 총선 국면에서 ‘공정한 공천 심사를 위해 법조인 중용이 필요하다’는 논리지만 당내에선 ‘비대위원장에 이어 공관위원장까지 또 법조인이냐’는 우려도 나온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25일 통화에서 “비대위 출범 후 한 전 장관이 지명할 문제지만 현재로선 법조계 인사가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공관위원장의 임명권은 비대위원장인 한 전 장관이 갖는다. 다른 당 핵심 관계자도 통화에서 “공정한 공천 원칙을 세우고 준수하기 위한 리걸 마인드(legal mind·법률적 사고)가 필요하다”며 “당내 사정을 잘 알고 판단을 잘 내릴 인사가 와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당헌 당규에 따라 총선 90일 전인 내년 1월 10일까지 공관위를 꾸리고 공관위원장을 임명해야 한다. 앞서 21대, 20대 등 두 차례 총선에서 공관위원장과 당 대표의 불화가 총선 참패 원인으로 지목된 만큼 이번에는 비대위와 공관위가 조화를 이루도록 ‘법조인 출신 콤비’로 구성되는 게 필요하다는 게 친윤 그룹의 설명이다. 2020년 21대 총선 당시 황교안 전 미래통합당 대표와 김형오 전 공관위원장 사이에서 사천(私薦) 논란이 불거지면서 갈등이 빚어졌고, 김 전 위원장이 총선 직전에 사퇴했다.

하지만 당내에선 “최소한 검찰 출신 인사는 배제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중진 의원은 통화에서 “리걸 마인드가 필요하다는 입장엔 어느 정도 공감한다”면서도 “차라리 판사 출신이라면 몰라도 국민 여론을 고려해 검찰 조직 색채가 짙은 사람들은 이번 공관위원장 인선 땐 2선으로 물러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원내 관계자는 “야당에서 ‘검찰 공화국’ 프레임으로 공격하는데 대통령-여당 대표-공관위원장까지 ‘검찰 동일체’ 그림을 그려 공격의 빌미를 줘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여당은 김기현 전 대표 체제에선 여권 원로급 정치인 출신 인사를 공관위원장 후보로 염두에 뒀던 것으로 알려졌지만 비대위 체제 전환 후 원점에서 재검토하는 기류다. 한 관계자는 “공관위 멤버로 당 사정을 훤히 잘 아는 전·현직 윤리위원장이나 당무감사위원회를 맡았던 분들이 합류해 합의제 기관처럼 구성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나리 기자 journari@donga.com
#공관위원장#법조인 검토#국민의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