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당무감사 ‘현역 1위’ 배현진…오후 하위권 컷오프 비율 발표

  • 뉴스1
  • 입력 2023년 11월 27일 12시 03분


코멘트
신의진 국민의힘 당무감사위원장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당무감사위원회 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수해 상황에서 워크숍을 열어 논란이 된 강성만 서울 금천구 당협위원장에 대한 진상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3.8.1/뉴스1
신의진 국민의힘 당무감사위원장이 1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열린 당무감사위원회 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수해 상황에서 워크숍을 열어 논란이 된 강성만 서울 금천구 당협위원장에 대한 진상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2023.8.1/뉴스1
국민의힘에서 내년 공천평가 지표로 활용될 당무감사 결과 수도권 지역 여성 의원인 배현진 의원이 현역 의원 중 1위를 한 것으로 27일 파악됐다. 당 당무감사위원회는 이날 오후 예정된 마지막 회의 이후 하위권 컷오프 비율 등 개략적인 결과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당 관계자에 따르면 당무위는 이날 오후 5시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마지막 회의를 연다. 당무위는 회의를 마치는 대로 지난 10월 현장감사를 진행한 이후부터 정리, 취합해온 당무감사 종합결과를 개략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앞서 신의진 당무감사위원장은 지난 21일 국회에서 김기현 대표에게 당무감사 결과에 대한 보고를 마쳤다. 신 위원장은 직후 기자들과 만나 “어제 회의에서 1차 점수가 다 나왔다”며 “이걸 어떻게 반영할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그는 국민의힘의 당세가 우세한 곳과 열세인 곳의 여론조사 점수 배정과 당무활동과의 조율 등이 고민이 되는 지점이라며 “그걸 다시 조율해서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 “의외로 (당무감사) 1위가 대단하시다. 저도 깜짝 놀랐다”며 “열심히 하는 분도 있어서 그런 분들도 말씀드릴 것이고, (평가) 하위는 문제가 있다고 권고해야 되는데 어느 기준으로 몇 퍼센트(%)를 할 것이냐를 정해야되지 않겠냐”고 했다.

앞서 당무위는 지난 10월6일까지 사전 자료를 취합하고 이를 토대로 같은 달 16일부터 27일 2주간 현장감사를 진행했다. 감사 대상은 전국 253개 당원협의회 중 사고 지역을 제외한 209개 당협으로, 중앙 당직자들이 전국 당협에 파견돼 감사를 실시했다.

이후 당무위는 10월31일부터 매주 당무감사 결과를 정리, 취합하기 위한 회의를 가져왔다. 정치권에선 이를 두고 하위 20~30%를 대상으로 한 컷오프로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졌다.

그러자 지난 23일부터 주말 사이 이와 관련된 지라시가 돌며 또다른 혼선을 빚기도 했다. 해당 지라시에는 ‘하위 22명’에 해당되는 의원들이라며 해당 의원들의 실명과 함께 ‘컷오프 대상’이라는 표현이 담겼다. 지라시가 돌자 해당되는 대표실과 당무감사위원회, 기획조정국 등 당에 여러 의원실로부터 항의 또는 문의가 빗발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자 당은 지난 24일 공식 입장을 발표하며 진화에 나섰다. 윤희석 선임대변인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최근 당무감사 결과 관련 사실이 아닌 내용이 유포되고 있다”며 “당무감사 관련 사실이 아닌 내용이 계속 유포될 시 당은 법적 조치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러한 부인에도 의원들 사이에선 여전히 동요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당초 당무감사에 앞서 ‘고강도’ 감사를 예고한데다, 당무감사 결과와 관련해서도 하위권에 중진 의원들도 포함돼 있다는 소식과 당의 주축인 PK(부산·경남)·TK(대구·경북)지역의 의원들이 대거 해당된다는 얘기가 전해지며 이전부터 대대적인 ‘물갈이’가 전망됐기 때문이다.

이를 의식한듯 당은 발표 수위를 예고했던 것보다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컷오프 대상이 될 명단을 공개하지 않는 것은 물론 당초 예고한 ‘현역 1위’와 ‘원외 1위’ 등 상위권에 대한 발표도 하지 않을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그간 당무감사 경과와 상·하위권 평가기준, 결과자료와 관련해 추후 공관위에 권고할 사항 등 원론적 차원의 발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이번 결과 발표로도 공개되지 않는 결과를 둘러싼 여러 추측과 의혹 등이 완전히 해소되지 못할 것으로 예상돼 이에 대한 반발은 한동안 계속될 거란 우려가 나온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