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중동 ‘빅3’ 정상외교 완성…경제·민생에 활기될 것”

  • 뉴시스
  • 입력 2023년 10월 30일 10시 15분


코멘트

"중동에 약 107조원 규모 운동장 생성"
"중동 외교, 파급 효과 계산 어려울 정도"
순방 필요성…"글로벌 시장 개척 플랫폼"

윤석열 대통령은 작년 아랍에미리트(UAE)에 이어 올해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까지 국빈방문을 마치며 “중동 빅(Big)3 국가와의 정상외교를 완성했다”고 30일 말했다. 또 이같은 중동 정상외교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와 민생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45회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중동 빅3 국가와의 외교에서 “경제적으로 많은 성과가 있었다”고 했다.

특히 “동행한 130여 명의 경제사절단은 사우디와 카타르에서 총 202억불 규모, 63개의 MOU(양해각서)와 계약을 체결했다”며 이를 통해 중동 3개국에서 “약 107조원 규모의 거대한 운동장이, 우리 기업이 뛸 운동장이 중동 지역에 새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러한 대규모 수출과 수주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통해 경제와 민생에 활기를 불어넣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윤 대통령은 사우디의 국영석유기업인 아람코가 울산에서 추진 중인 ‘샤힌 프로젝트’, 사우디에서 수주한 가스플랜트 사업, 카타르에서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선박 등을 예로 들며 “물류, 개발, 생산 분야의 일자리 전후방 파급 효과는 계산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했다.

또 “튼튼한 에너지 안보는 경제와 산업의 기초다. 이번 순방을 통해 에너지 안보를 단단히 다졌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UAE와의 400만 배럴 계약에 이어 이번에는 사우디와 530만 배럴의 원유공동비축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제 원유 수급의 위기가 발생할 경우 우리가 비축 원유의 우선 구매권을 가지고 비축기간 동안 우리의 비축 시설 대여료 수익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중동 산유국의 미래 비전인 ‘포스트오일 시대’ 파트너로 도약하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윤 대통령은 “(중동) 정상들이 직접 나서 첨단산업과 그린산업으로의 전환을 진두지휘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은 원전의 설비, 시공, 운영 등에 있어 세계 최고의 기술력과 노하우를 갖고 있는 만큼 UAE를 포함한 중동 파트너국들과 원전협력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우리는 50여 년 전 에너지와 건설 분야에서 중동 붐을 꽃피웠다”며 “이제 미래 첨단산업 분야로 협력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고 했다. 이어 “바이오, 의료, 스마트팜, 디지털 등 첨단산업과 신재생 무탄소에너지 등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중동과의 방위산업 협력 성과도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UAE 방문에 이어 이번에 사우디, 카타르 방문 계기에 본격적으로 확대하기로 합의한 국방협력은 경제 산업 협력의 근간이 될 것”이라며 “2011년부터 UAE에 아크부대를 파견해 UAE 군의 양성과 훈련에 기여하고 있으며 사우디와는 단순한 무기판매가 아니라 무기체계의 공동개발, 공동생산의 틀을 만들어 지금까지의 방산협력 규모와는 다른 대규모 협력을 해 나가기로 했다”고 소개했다.

또 “카타르와도 일회성 무기체계 판매를 넘어서 중장기적이고 체계적인 국방협력의 틀을 만들어 방산협력을 해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우리 방위산업 시장의 외연을 글로벌 마켓으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모두발언에서 왜 ‘정상외교’가 필요한지 상세히 설명했다. 야권에서 윤 대통령의 잦은 순방에 대한 비판이 나오자 순방의 의의와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윤 대통령은 “정상 순방외교는 우리 국민과 기업의 글로벌 시장 개척을 돕는 최적의 플랫폼”이라고 했다.

이어 “지금까지 저의 해외순방에 동행한 경제사절단은 중소, 중견 기업이 80% 가까이 차지한다”며 “사우디 순방에 동행한 병원 치료용 유전자 검사업체와 석유가스시설 검사 드론 제작회사의 스타트업 청년 기업가들은 정상외교 계기에 상대국 기업과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앞으로도 경제사절단에 많은 중소기업인과 청년 사업가들을 참여시킬 것”이라며 “(관계부처들은) 정부와 경제사절단이 원팀 코리아로 만들어 낸 성과를 꼼꼼하게 챙기고 후속조치에 만전을 기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순방 성과가 실질적 이익으로 돌아오기 위해서는 법과 제도를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윤 대통령은 “해외에 진출하는 우리 기업도 우리 제도가 글로벌 스탠더드에 부합할 때 국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며 “그것이 바로 일자리를 만들어 내고 민생을 풍요롭게 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