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비서관 “7월 31일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한 적 없어”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30일 21시 27분


코멘트

야당, 이종섭 국방장관 해임 요구
조태용 “인사권자에게 맡길 문제”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왼쪽)이 지난달 20일 고 채 상병 빈소에서 헌화와 분향을 마친 후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2023.7.20/뉴스1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왼쪽)이 지난달 20일 고 채 상병 빈소에서 헌화와 분향을 마친 후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2023.7.20/뉴스1
7월 31일 해병대 고 채모 상병 순직 사건의 수사 결론을 두고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한 인물로 거론된 임기훈 대통령국방비서관이 “7월 31일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한 적이 없다”고 관련 의혹을 부인했다.

30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임 비서관은 ‘해병대 사령관과 통화한 게 맞느냐’는 더불어민주당 윤준병 의원의 질의에 “해병대사령관과 통화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이어 조태용 국가안보실장에게 “(사실이 아닌 보도 등에) 그간 적극적으로 대응해온 게 윤석열 정부의 기본입장 아니었느냐. 법률 대응을 할 의향이 있느냐”고 묻자 조 실장은 “사실이 아니기 때문에 생각해보지 않았다” “앞으로 생각해 보겠다”고 답했다.

앞서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은 28일 “국방부가 채 상병 순직 사건의 경찰 이첩을 보류시킨 배경에 윤 대통령 의중이 있었다”는 취지의 진술서를 국방부 검찰단에 제출했다. 진술서에는 김계환 해병대사령관이 지난달 31일 “대통령실에서 VIP 주재 회의 간 수사 결과에 대한 언급이 있었고, (수사 결과를 들은) VIP가 격노해 장관과 통화한 후 이렇게 됐다”고 말했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임 비서관은 김 사령관 등 군 핵심 관계자들과 통화한 인물로 야권 안팎에서 거론돼왔다.

박 전 단장은 집중호우 실종자를 수색하다 급류에 휩쓸려 사망한 채 상병 수사 결과를 경찰에 이첩하지 말고 보류하라는 이종섭 국방부 장관의 지시를 따르지 않은 혐의(군형법상 항명)로 30일 사전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민주당 장철민 의원은 ‘7월 31일 대통령주재수석비서관회의 같은 회의체를 떠나 어떤 방식으로도 대통령에게 보고된 게 없다는 뜻이냐’고 묻자, 조 실장은 “제가 보고드린 게 없다”고 했다. 이어 “제가 알기로 없다. 제가 최대한 확인해봤는데 없다“고도 했다. 조 실장은 대통령은 아예 몰랐다는 뜻이냐는 물음에는 “그랬을 것입니다”고 답했다. 이종섭 국방부 장관의 해임을 요구하는 장 의원의 질의에는 “장관 거취에 대해선 제가 말씀드리는 게 적절치 않다. 인사권자인 대통령에게 맡겨야할 문제”라고 즉답을 피했다.

장관석 기자 jks@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