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주 일본서 한일 국장급 회의… ‘오염수’ 관련 후속조치 논의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20일 16시 29분


코멘트
우리나라와 일본 정부가 다음주 일본 후쿠시마(福島) 제1원자력발전소 내 방사성 오염수의 해양 방류계획 관련 논의를 위한 국장급 회의를 진행한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한일정상회담 후속조치 등을 논의하기 위해 국장급 회의를 가까운 시일 내에 개최하는 방안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한일 외교당국은 이번 국장급 회의 일자를 확정짓진 못했으나 일단 내주 초 개최하는 방향으로 의견을 좁힌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에 따르면 이번 한일 국장급 회의에선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계획과 관련해 지난 12일 한일정상회담 때 리 측이 요구한 사항들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윤석열 대통령은 당시 회담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를 개시할 경우 그 안전성 문제와 관련해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방류 점검 과정에 우리 전문가가 참여토록 하며, △방류 오염수의 방사성 물질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할 때 즉각 중단할 것을 요구했다.

이와 관련 임 대변인은 “국장급 회의에선 정상회담에서 논의한 사안을 포함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처리의) 과학적 안전성뿐만 아니라, 우리 국민이 안심할 수 있게 높은 신뢰·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방안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한일 국장급 회의는 일본에서 열릴 전망이다.

한일 양국 정부는 지난 5월에도 국장급 회의를 열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관련 문제는 논의했다. 당시에 우리 전문가 시찰단의 후쿠시마 원전 등 일본 내 현장 방문에 관한 사항이 다뤄졌다.

일본 도쿄전력이 운용하는 후쿠시마 제1원전은 지난 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때 폭발사고를 일으켜 가동이 중단됐다. 그러나 이후에도 사고 당시 녹아내린 핵연료를 식히기 위한 냉각수 주입과 외부의 지하수·빗물 유입 때문에 원전 건물 내에선 하루 140톤 안팎의 고농도 방사성 오염수가 생성되고 있다.

일본 측은 현재 이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로 정화한 뒤 바닷물에 희석해 방류하면 ‘안전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도 이 같은 일본의 오염수 처리 방식이 ‘국제기준에 부합한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밝표했다.

그러나 국내외에선 여전히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의 해양 방류와 관련한 피해 우려가 가라앉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한일 국장급 회의가 “(오렴수) 방류를 전제로 하는 건 아니다”고 전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