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외국정상 최초로 美 핵잠수함 올라…“北, 핵 도발땐 종말”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7월 19일 17시 10분


코멘트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9일 오후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 정박한 미국 오하이오급 핵추진 탄도유도탄 잠수함(SSBN) 켄터키함(SSBN-737)에 승함하고 있다. 2023.07.19.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19일 오후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 정박한 미국 오하이오급 핵추진 탄도유도탄 잠수함(SSBN) 켄터키함(SSBN-737)에 승함하고 있다. 2023.07.19.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외국 정상 중 처음으로 ‘최종 핵병기’로 불리는 미국의 전략핵잠수함(SSBN)에 승선했다. 전날 SSBN이 부산항에 입항했다고 전격 발표한 지 하루 만이다. 윤 대통령은 “한미 양국은 앞으로도 핵협의그룹(NCG), SSBN과 같은 전략자산의 정례적 전개를 통해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압도적이고 결연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 NCG 첫 회의 다음날인 이날 오후 켄터키함(SSBN-737)이 입항한 부산 해군작전사령부를 찾았다. 켄터키함의 선체 길이는 약 170m로, 트라이던트-II 핵탄도유도탄 약 20여기 적재가 가능하다. 트라이던트-II 핵탄도유도탄의 최대사정거리는 약 1만2000km에 달한다.

흰색 제복을 입은 켄터키함 승조원들은 레드카펫 좌우로 도열해 윤 대통령을 맞았다. 무장한 미군들은 잠수함 보안을 위해 둘러싼 컨테이너 박스 위에서 경계근무를 섰다. 선체 좌우로는 12개씩 핵미사일 발사구 24개가 보였다. 윤 대통령 부부는 카라 아베크롬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국방·군축조정관 등과 차례로 인사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오후 미국 오하이오급 핵추진 탄도유도탄 잠수함(SSBN) 켄터키함(SSBN-737)이 입항한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를 방문해 격려사하고 있다. 2023.07.19.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오후 미국 오하이오급 핵추진 탄도유도탄 잠수함(SSBN) 켄터키함(SSBN-737)이 입항한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를 방문해 격려사하고 있다. 2023.07.19. 뉴시스
윤 대통령은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전략자산 중 하나인 미국의 SSBN 켄터키함에 방문하게 돼 뜻깊고 든든하다”면서 “우방국 대통령으로서는 제가 처음으로 SSBN을 방문하게 된 것으로 알고 있다. 켄터키함의 전개를 위해 애써주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님, 존 애퀼리노 미국 인도태평양사령관님, 폴 러캐머라 주한미군사령관님,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국방부, 국무부, 주한미군 관계자들의 노고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1981년 미국의 SSBN 로버트 리함이 진해에 온 뒤 42년 만에 켄터키함이 부산 작전기지에 전개된 것”이라며 “이번 켄터키함의 전개는 미국의 전략자산을 정례적으로 전개하고 확장억제 실행력을 방어하기 위한 한미 양국의 의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 “어제 한미 양국은 4월 저와 바이든 대통령이 채택한 ‘워싱턴 선언’의 실질적인 이행 조치로서 한미 NCG 회의를 개최했다”며 “한미는 핵자산과 비핵자산을 결합한 핵 작전의 공동기획과 실행을 논의하고 한반도 주변에 미국 전략자산 배치의 가시성을 제고해 나아가기로 했다. 이를 통해 북한이 핵 도발을 꿈꿀 수 없게 하고 만일 북한이 도발한다면 정권의 종말로 이어질 것임을 분명히 경고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오후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를 방문해 폴 라카메라 한미연합군사령관과 인사하고 있다. 2023.07.19.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 오후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를 방문해 폴 라카메라 한미연합군사령관과 인사하고 있다. 2023.07.19. 뉴시스


정봉오 동아닷컴 기자 bong08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