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5월정신 아래 하나”… ‘5월 어머니’들과 민주의 문 함께 통과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5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5·18 기념식]
“5월정신, 반드시 계승해야할 자산, 호남지역 산업발전 뒷받침하겠다”
주먹 쥐고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여야 국회의원 200여명 대거 참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윤석열 대통령(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18일 비가 내리는 가운데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3주년 기념식에서 오른손 주먹을 쥐고 흔들며 5·18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가족을 잃은 어머니들의 모임인 ‘오월어머니회’ 회원들이 윤 대통령과 함께 
노래를 부르고 있다. 윤 대통령은 다른 참석자들과 달리 우비를 입지 않았다. 광주=대통령실사진기자단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윤석열 대통령(오른쪽에서 두 번째)이 18일 비가 내리는 가운데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3주년 기념식에서 오른손 주먹을 쥐고 흔들며 5·18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부르고 있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가족을 잃은 어머니들의 모임인 ‘오월어머니회’ 회원들이 윤 대통령과 함께 노래를 부르고 있다. 윤 대통령은 다른 참석자들과 달리 우비를 입지 않았다. 광주=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은 18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 정문인 ‘민주의 문’ 앞에서 5·18민주화운동 당시 가족을 잃은 어머니들의 모임인 ‘오월어머니회’ 회원 15명을 직접 맞았다. 주요 정부 인사들과 함께 입장하는 관례에서 벗어나 윤 대통령은 어머니들과 함께 ‘민주의 문’을 통과해 기념탑 앞 행사장까지 6분간 200m를 함께 걸었다. 현장엔 봄비가 내렸지만 검은색 정장 차림의 윤 대통령은 다른 참석자들처럼 우비나 우산을 쓰지 않았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광주를 찾은 윤 대통령은 기념사에서 “5월 정신 아래 우리는 하나” “5월의 정신은 우리를 하나로 묶는 구심체”라고 거듭 강조하며 국민 통합 메시지를 발신했다. ‘5월 정신’은 기념사에 10차례 언급됐다. 윤 대통령은 보수 진영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2년 연속 참석했다.

● 尹, 주먹 쥐고 ‘임을 위한 행진곡’ 불러
윤 대통령은 이날 “5월 정신은 자유민주주의 헌법 정신 그 자체이고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 할 소중한 자산”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가 5월의 정신을 잊지 않고 계승한다면 우리는 자유와 민주주의를 위협하는 모든 세력과 도전에 당당히 맞서 싸워야 하고 그런 실천적 용기를 가져야 한다”면서 ‘5월 정신’을 실천으로 이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오월 정신’의 현대적 계승을 ‘호남 발전론’으로 이어갔다. 윤 대통령은 “5월의 정신은 자유와 창의, 그리고 혁신을 통해 광주, 호남의 산업적 성취와 경제 발전에 의해 완성된다. 광주와 호남의 혁신 정신이 인공지능(AI)과 첨단 과학 기술의 고도화를 이뤄낼 수 있도록 제대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3000여 명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서 윤 대통령은 흰색 우비를 입은 ‘오월어머니회’ 회원들과 함께 앉았다. 기념사에선 이들을 가리키며 “사랑하는 남편, 자식, 형제를 잃은 한을 가슴에 안고서도 5월의 정신이 빛을 잃지 않도록 일생을 바치신 분들”이라고 했다. 이어 “애통한 세월을 감히 헤아릴 수 없지만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가는 분들의 용기에 다시 한번 감사드린다”고 덧붙였다.

기념식 말미에 윤 대통령은 오른손 주먹을 쥐고 흔들며 5·18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을 불렀다. 과거 보수 정부에서 노래가 식순에서 제외되거나 참석자가 다 함께 부르는 제창 대신 합창으로 대체되는 등 논란이 계속돼 왔지만 2년 연속 노래를 제창한 것.

● 유족 손 잡고 “얼마나 마음 아프시겠나”
기념식 후 윤 대통령은 1묘역에 안장된 전영진 김재영 정윤식 열사 묘역을 참배하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시신을 찾지 못한 희생자나 다른 묘역에 묻힌 고인의 영정을 모신 유영봉안소도 찾았다. 윤 대통령은 전 열사의 부모인 전계량 김순희 씨 손을 잡고 “자식이 전쟁에 나가서 돌아오지 않아도 가슴에 사무치는데, 학생이 국가권력에 의해 돌아오지 못하게 돼 그 마음이 얼마나 아프시겠나”라고 위로했다. 윤 대통령은 “유가족들이 도시락도 드시고 쉬실 수 있도록 (묘역 입구의) 민주관 쉼터를 확장해 공간을 확보하라”고 박민식 국가보훈처장에게 지시했다.

빗속의 여야 정치인들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3주년 기념식에서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앞줄 왼쪽부터)가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빗속의 여야 정치인들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5·18민주화운동 43주년 기념식에서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정의당 이정미 대표(앞줄 왼쪽부터)가 애국가를 부르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기념식에는 여야 지도부 등 국회의원 200여 명이 참석해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리고 호남 민심 구애에 나섰다. 국민의힘에선 징계를 받고 자숙 중인 태영호 의원 등을 제외한 90여 명이 참석했고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의원 100여 명이 참석했다. 정의당은 소속 의원 6명이 모두 참석했다. 의원들은 양옆 사람과 손을 잡거나 주먹 쥔 손을 흔들며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했다. 다만 기념식 맨 앞줄에 나란히 있던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와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서로 손을 잡지 않고 따로 노래를 불렀다.

양재혁 5·18유공자유족회장은 “윤 대통령이 5·18기념식에 온 것을 환영한다. 하지만 5·18정신 헌법 전문 수록에 대한 강도 높은 약속이 없었던 것이 아쉽다”고 말했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
권구용 기자 9dragon@donga.com
이형주 기자 peneye09@donga.com
#5·18 기념식#오월어머니회#민주의 문#5·18민주화운동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