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당·조기 귀국’ 요청 수용한 宋…거리두는 李 “회동 검토 안해”

  • 뉴스1
  • 입력 2023년 4월 23일 16시 36분


코멘트
송영길(왼쪽)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대표.,/뉴스1 ⓒ News1
송영길(왼쪽)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재명 대표.,/뉴스1 ⓒ News1
송영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돈 봉투’ 의혹 관련 더불어민주당 탈당과 조기 귀국 요청 수용 의사를 밝히면서 이제 공은 이재명 대표로 넘어가는 모습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당장의 집단행동은 없다고 신중론을 보이면서도 향후 대책 마련에 고심이다.

민주당은 23일 송 전 대표의 프랑스 현지 기자간담회에 대해 ‘존중’ 의사를 표했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이날 민주당 입장 표를 통해 “송 전 대표의 귀국을 계기로 이번 사건의 실체가 일체의 정치적 고려 없이 신속하고 투명하게 규명되길 바란다”라고 했다.

다만 송 전 대표와의 거리 두기를 하며 해결책 마련에 고심하는 모습이다. 권 수석대변인은 송 전 대표의 24일 귀국과 관련 “지도부 간 회동은 아직 검토된 바 없다”고 했다.

또 당내 일각에서 제기된 ‘전수조사’, ‘비상 의원총회’, ‘당 차원의 조사기구’ 등 요구에 대해서도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며 “송 전 대표가 귀국하면 사건 규명이 좀 더 빨라질 테니 진행 상황을 보면서 그에 맞는 대응을 할 것으로, 대응이 늦기보다는 신중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혐의에 연루되거나 리스트에 적힌) 의원 개별 대응은 그들의 결정이고 존중해야 한다”며 “당에서 집단적으로 대응하는 방침은 현재로선 없다”고 덧붙였다.

박성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박홍근 원내대표가 지난 20일 의원총회에서 (당 차원의) 현실조사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설명했다”며 “송 전 대표의 대응을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당은 송 전 대표가 이 대표의 조기 귀국 요청을 수용한 데 대해 한숨을 돌리면서도 지도부 차원의 해법 마련에 대한 고심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당장 의혹에 연루된 윤관석, 이성만 의원에 대한 사실관계 파악 및 징계 여부도 고민 지점이다. 권 수석대변인은 이들의 탈당계 제출을 묻는 말엔 “아직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또 당장 총선을 1년도 남기지 않은 상황에서 현역 의원들은 ‘리스트’ 지라시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검찰은 2021년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정근 전 민주당 사무부총장이 윤관석, 이성만 의원 등에게 수천만원의 정치자금을 전달한 것으로 보고 있지만, 당내에선 현역 의원만 최소 10명 이상, 많으면 수십명에 달할 수 있다는 우려가 퍼져 있다.

아울러 지난 대선 경선 과정에서 ‘이심송심’(李心宋心) 논란이 불거진 만큼 기존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가 진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상존한다. 이에 권 수석대변인은 송 전 대표와 이재명 대표의 연관성을 지적하는 것에 대해 “전력이 있다는 것만으로 사법적 혐의를 확정 짓는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매우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결국 민주당이 내놓을 재발 방지 대책에 따라 여론이 좌우할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리는 상황이다. 권 수석대변인은 대책과 관련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결국 정당 혁신, 정당 개혁 등의 방향이 추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