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발사前 탐지 어려운 ‘고체연료 신형ICBM’ 첫 공개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2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화성-17형 등 ICBM 16기 이상
北 야간 열병식에 줄지어 등장
김정은 딸 김주애, 주석단 중앙에

처음 모습 드러낸 北 신형ICBM… ‘핵 공격태세 완비’ 위협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8일 열린 북한군 창건(건군절) 
75주년 야간 열병식에서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이동식발사차량(TEL)에 실려 등장하고 있다. 이 미사일은 
지난해 12월 북한이 지상연소시험에 성공한 고체연료 엔진 기반의 ICBM인 것으로 추정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딸 김주애와
 함께 주석단에서 열병식을 지켜봤다(아래쪽 사진). 노동신문 뉴스1
처음 모습 드러낸 北 신형ICBM… ‘핵 공격태세 완비’ 위협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8일 열린 북한군 창건(건군절) 75주년 야간 열병식에서 북한의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이동식발사차량(TEL)에 실려 등장하고 있다. 이 미사일은 지난해 12월 북한이 지상연소시험에 성공한 고체연료 엔진 기반의 ICBM인 것으로 추정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딸 김주애와 함께 주석단에서 열병식을 지켜봤다(아래쪽 사진). 노동신문 뉴스1
북한이 8일 밤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진행한 인민군 창건(건군절) 75주년 야간 열병식에서 고체연료 엔진으로 추정되는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전격 공개했다. 북한이 신형 ICBM을 공개한 것은 2020년 10월 당 창건 열병식에서 ‘괴물 ICBM’인 화성-17형을 공개한 이후 2년 4개월 만이다.

9일 북한 노동신문에 따르면 심야 열병식 마지막에 신형 ICBM 5기가 이동식발사차량(TEL)에 실려 모습을 드러냈다. 그 앞에서는 11기 이상의 화성-17형이 등장했다. 노동신문은 “우리 국가의 최대의 핵공력을 과시하며 대륙간탄도미싸일(미사일) 종대들이 등장했다”고 전했다. 신형 ICBM은 대형 발사관(캐니스터)에 장착된 형태여서 외관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지난해 12월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관하에 지상 연소시험에 성공한 고체연료 엔진 ICBM일 것으로 군 당국은 보고 있다. 9축(바퀴 총 18개)짜리 TEL에 실린 점에서 최대 사거리 1만5000km인 화성-17형(11축)보다 덩치는 작지만 미 본토를 타격할 사거리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북한은 열병식에서 KN-23 등 단거리탄도미사일(SRBM)과 장거리순항미사일 행렬에 대해 ‘전술핵 운용부대 종대’라고 밝혔다. 북한이 열병식에서 ‘전술핵 운용부대’를 거론한 것은 처음이다. 지난해 10월 김 위원장이 ‘전술핵 운용부대’에 실전 배치된 순항미사일 등의 시험발사를 지휘한 데 이어 대남 핵 공격 태세가 완비됐음을 과시한 것이다.

김 위원장의 딸 김주애(10세 추정)가 김 위원장과 함께 주석단 중앙에서 열병식을 참관해 ‘백두혈통 4대’로서 위상을 과시했다. 북한은 김주애가 “귀빈석에 자리 잡았다”며 “사랑하는” “존경하는”이라는 수식어를 사용했다.

北, ICBM 16기 이상 동원 ‘열병식 역대최대’… “전술핵 부대” 첫 언급… 대남 핵타격 위협


北 대규모 야간 열병식

美 향해 ICBM 양산-배치 임박 과시
軍 “이른 시기 신형 시험발사 가능성”

‘화성-17형’ ICBM 최소 11기 2열 행진 8일 북한 조선인민군 창건(건군절) 75주년 기념 열병식 후반부에 등장한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11기는 이날 열병식에서 2열로 행진했다. 노동신문 뉴스1
‘화성-17형’ ICBM 최소 11기 2열 행진 8일 북한 조선인민군 창건(건군절) 75주년 기념 열병식 후반부에 등장한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 11기는 이날 열병식에서 2열로 행진했다. 노동신문 뉴스1
북한은 8일 열병식에서 미국 본토를 때릴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맨 마지막에 등장시켰다. ICBM 무력시위 규모는 지난해 4월 열병식을 압도했다.

지난해 열병식에선 ‘괴물 ICBM’으로 불리는 화성-17형과 화성-15형이 4기씩 총 8기의 ICBM이 동원됐다. 새로 공개된 무기는 ‘북극성-5ㅅ’보다 탄두부를 키운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에 그쳤다. 반면 이번엔 미 본토를 겨냥한 신형 ICBM 5기와 화성-17형 최소 11기 등 16기가 넘는 ICBM이 무더기로 동원됐다.

군은 역대 열병식 가운데 가장 많은 ICBM이 등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 화성-17형 종대 행렬의 가장 선두에선 지난해 11월 최종 시험발사 성공 직후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영웅 칭호와 국가훈장 제1급을 수여한 ‘321호’ 이동식발사차량(TEL)이 목격됐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화성-17형이 양산 및 실전 배치에 이르렀다는 의미다. 미국의 확장억제를 무력화할 수 있는 핵무력을 갖췄다고 과시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신형 ICBM은 대형 발사관에 장착된 채로 9축짜리(양쪽 바퀴 합쳐 18개) TEL에 실려 모습을 드러냈다. 세계 최대 규모의 11축 TEL에서 발사되는 화성-17형보다 약간 작게 제작된 것. 북한은 지난해 12월 첫 지상연소 시험에 성공한 신형 고체엔진의 추력이 140tf(톤포스·140t을 밀어올리는 추력)라고 주장한 바 있다. 당시 현장을 참관한 김 위원장이 “최단 기간 내 또 다른 신형 전략무기의 출현을 기대한다”고 밝힌 점에서 고체 엔진으로 제작한 ICBM으로 군은 보고 있다.

고체 엔진 ICBM은 연료와 산화제 탱크, 배관 등이 필요한 액체 엔진 ICBM보다 구조가 단순해 더 작고 가볍게 만들수 있다. 배터리처럼 고체연료(연료+산화제)를 장착한 채로 TEL에 실어 지하 갱도 등에 대기시키다가 발사 명령 수십 초 만에 쏠 수 있어 기습과 은밀성이 액체 ICBM보다 탁월하다. 발사 징후 탐지가 불가능해 훨씬 위협적이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2017년부터 고체연료 ICBM을 개발한 북한이 조만간 미사일을 쏠 수 있는 단계까지 기술을 고도화시킨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김 위원장이 2021년에 제시한 5대 국방과업 중 하나인 고체 ICBM의 개발 성과를 정주년(5, 10년 단위로 끊어지는 해) 열병식에서 과시한 걸로 봐야 한다는 것. 일각에선 ‘모형설’이 제기된다. 하지만 2020년 10월 열병식에서 화성-17형을 공개했을 때도 ‘모크업(mockup·실물 크기 모형)’이란 주장이 나왔지만 2년 1개월 만에 시험발사에 성공한 만큼 과소평가는 금물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군 소식통은 “북한이 이른 시기에 신형 ICBM 시험발사를 시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은 열병식에 등장한 북한판 이스칸데르(KN-23)와 초대형 방사포(KN-25), 장거리순항미사일 등을 ‘전술핵 운용부대’라고 처음 언급했다. 유사시 서울과 워싱턴을 동시 겨냥한 핵타격 위협을 어느 때보다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평가된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손효주 기자 hjson@donga.com


#북한#야간 열병식#고체연료 신형icbm#김주애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