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군 관계자 문책론에 대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필요하겠지만, 더 중요한 것은 우리가 미흡했던 부분을 조속히 보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지난해 집중됐던 북한의 미사일 도발, 고체연료엔진 시험 등의 위협에 대해 “북한 도발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안전을 위해서 단호하게 대응하겠다고 입장을 가지고, 그렇게 하고 있다는 점을 말씀드린다”고 말했다.
북한의 무인기 침공 당시 우리 군의 무인기를 군사분계선(MDL) 이북으로 보내 맞대응한 작전에 대해서는 “우리 자위권 차원의 조치는 제한할 수 없다. 우리가 조치한 자위권 대응은 어떤 문제도 없다”고 다시 한번 해명했다.
한편 지난해 12월26일 북한의 무인기 침공과 관련해 군의 상황판단 및 전파, 전력운용 등 총체적인 부실대응이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합참은 그동안 북한의 소형무인기에 대한 위협 인식이 핵·미사일에 비해 후순위에 있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 향후 이를 보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