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30% 무너진 날, 與 ‘비대위 전환’ 격랑…초유사태 가시화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7월 29일 21시 12분


코멘트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국회를 나서고 있다. 2022.7.29 사진공동취재단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29일 오전 국회를 나서고 있다. 2022.7.29 사진공동취재단
국민의힘이 29일 권성동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 대신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가닥을 잡고 지도부 체제 전환을 위해 본격 시동을 걸었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지 81일 만에 집권 여당 지도부가 교체되는 초유의 사태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배현진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이후 80여 일이 되도록 저희가 속 시원한 모습으로 국민들께 기대감을 충족시켜드리지 못한 것 같다”며 최고위원직을 사퇴했다. 그는 “끊어내야 할 것을 제때에 끊어내지 않으면 더 큰 혼란이 초래된다”면서 “지도부 일원으로서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드려야 할 때”라고 말했다.

여권에서는 배 최고위원이 비대위 체제를 위한 수순 밟기로 직을 먼저 던진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초선 의원 32명도 배 최고위원 전격 사퇴 직후 성명서를 내고 “최선의 방법은 신속히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연일 당 지도부의 실수와 내분이 보도되고 있고, 집권 여당이 오히려 정부의 개혁 동력을 위축시키고 있는 모양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근 윤 대통령의 ‘내부 총질’ 메시지 노출 등 권 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의 잇따른 실책을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권성동 직무대행 체제’에 대한 대통령실의 기류와도 무관치 않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전날 ‘고생했다’는 뜻으로 권 원내대표와 나눈 환담이 재신임을 한 듯 보도되자 상당히 불쾌해 했다”고 전했다. 각종 논란으로 자숙해야 할 때 권 원내대표 측이 언론플레이를 하는 듯한 모습에 실망감이 컸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이준석 대표 중징계 결정 이후 19일째 이어져 오던 권 직무대행 체제는 중대 기로에 서게 됐다. 여권 일각에서는 비대위 체제로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핵심 관계자는 “권 원내대표도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에 반대하지 않는다”며 “8월 말 전후로 비대위 출범을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갤럽이 이날 발표한 여론조사(26~28일) 결과 윤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28%로, 취임 이후 처음으로 20%대로 떨어졌다.


강경석 기자 coolup@donga.com
홍수영 기자 gae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