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한 확진자 별도 집계 안돼…1,2위 초박빙 땐 혼란 우려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3월 6일 18시 54분


코멘트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가 끝난 5일 오후 서울역에 설치된 남영동 사전투표소에서 관계자들이 기표소를 정리하고 있다. 뉴스1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가 끝난 5일 오후 서울역에 설치된 남영동 사전투표소에서 관계자들이 기표소를 정리하고 있다. 뉴스1
5일 오후 실시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격리자 사전투표에서 불거진 또 하나의 논란은 확진·격리자와 일반 유권자의 정확한 투표 규모가 집계 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9일 개표 결과 1, 2위 후보의 격차가 근소할 경우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이 극심한 정치적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6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확진자의 사전투표가 시작된 전날(5일) 오후 5시부터 투표 마감 시각까지 사전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는 총 99만 630명. 이는 전체 유권자(4419만7692명)의 2.2%다.

그러나 이 99만 명은 오후 5시 이후 투표한 일반 유권자와 확진·격리자가 모두 포함된 수치다. 선관위는 이 중 확진·격리자를 따로 집계하는 것이 당장은 불가능하다는 태도다. 별도의 확진·격리자 명부 없이 전체 선거인단이 담긴 ‘통합명부시스템’ 안에서 확진·격리자의 본인 여부를 확인해 투표하게 했기 때문이다.

다만 확진·격리자의 경우 기표 전 ‘본인여부 확인서’를 별도 작성했기 때문에 이 확인서를 기준으로 확진·격리자 투표 규모를 파악 가능하다는 관측도 있다. 이에 선관위 관계자 “물리적으로 셀 수는 있지만 확진·격리자의 규모를 따로 집계할지 아직 결정된 부분이 없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당선자가 1~2%포인트 정도의 근소한 격차로 결정되면 확진·격리자 투표 관리 부실이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모두 부정선거 프레임에 대해서는 일단 거리를 두고 있다. 양측 모두 승리를 자신하는 상황에서 섣불리 부정선거 의혹을 제기했다가 승리할 경우 스스로 결과를 부정하는 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아라 기자 likei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