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의혹’ 김한정 “30년 지켜온 당, 못나가…독재냐”

  • 뉴스1
  • 입력 2021년 6월 10일 14시 19분


코멘트
국민권익위원회 조사에서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의원 부인의 땅 매입과 관련한 언론의 보도에 반박하고 있다. 2021.6.10/뉴스1 © News1
국민권익위원회 조사에서 부동산 투기 의혹이 제기된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김 의원 부인의 땅 매입과 관련한 언론의 보도에 반박하고 있다. 2021.6.10/뉴스1 © News1
부동산 의혹으로 탈당을 권유받은 김한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0일 “30년 동안 지켜온 당이다. 탈당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사실확인관계에 대해 조사를 두 번이나 받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당 윤리감찰단 조사를 4시간 동안 제가 직접 출석해 자료로 소상히 설명했고, 제 아내가 특수본의 지시로 경기북부경찰청에서 4시간 이상 조사를 받았다”며 “상세히 다 조사 받아 지난달 10일 무혐의 통지를 받았고 당에도 보고했다. 그런데 권익위는 영문도 모른채 저를 비밀 정보를 이용한 거래 의혹이 있다고 통보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에서는 근거 확인도 안 하고 낙인을 찍고 일단 나가라고 했다. 정상적인 과정이 아니다. 독재일 수도 있고 권위주의 시대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국회의원도 지켜야 할 최소한의 존엄과 인권이 있다”고 말했다.

또 “부동산으로 들끓는 민심, 민주당이 처한 난처한 입장, 우리가 스스로 아무리 조사해도 믿어주지 않는 불신의 시대 다 이해한다. 그래서 제 아내를 특수본에서 1차적으로 소환해서 조사해주기를 바란다. 경찰청은 이미 자료를 다 가지고 있다. 추가로 비밀의혹이 있었는지 명명백백 밝혀주길 요구한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송영길 대표가 선당후사 입장을 보이는 것과 관련해 “당 대표로서 고충이 있을 것이고 저도 정치하는 사람으로 왜 모르겠나. 당 대표로서도 이미 결정한 일 번복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저는 제 스스로 최소한 지켜야할 명예를 포기할 수 없다. (소명기회로) 바로 잡아달라고 요청했는데 반영이 안되는 상황에서 당의 권유를 어떻게 받냐”고 말했다.

또 대표 면담이나 최고위원회의 소명 기회를 요청했냐는 질문에 “소명은 요구해놓은지 며칠 됐다. 당에서 알아서 할 것이다”고 말했다.

또 부동산 의혹으로 역시 탈당을 권유받은 오영훈 의원이 ‘징계위원회에 가서 소명하겠다’고 말한 점에 대해서는 “저는 (징계위에 제가 가서) 왜 징계를 받아야 하는지 잘 모르겠다. 당헌당규를 다시 봐야겠다. 아무리 급해도 지킬 것은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자신의 땅 주변 군부대를 이전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어 이해충돌 의혹을 받는 점에 대해서는 “오래된 민원이며, 유네스코 보존지역 문턱에 군부대가 버텨야하냐는 등 환경단체의 요구가 많았다. 사실상 진척이 없다. 이전을 한다고해도 첨단산업이 들어오는 지역도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 지역구) 남양주는 신도시나 개발 수혜가 제일 없다. 다른 지역보다 지가 변동이 별로 없는 지역이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김 의원은 “왜 하필 지역구에 그런 땅을 구입해서 오해 살 일을 하느냐, 저도 아쉽고 제 아내도 부쩍 후회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이해충돌을) 회피할 노력을 충분히 기울이지 못했다는 점은 제가 더 이상 반론하지 않겠다. (다만) 투기가 아닌 것을 도덕적으로 비난받을 사안인가, 냉정히 판단해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날 한 언론사에서 보도된 남양주시 진전읍 땅과 관련해 “해당 기사에서 다룬 부지는 제 아내가 구입한 땅 옆의 땅이며, 명백한 오보”라고 말했다.

또 전날 방송에서 김 의원이 지역구의 땅을 사고 인근에 지하철 개통을 서둘러달라고 경기도에 요청한 의혹을 보도한 것과 관련해 “지하철 때문에 제 아내가 구입한 땅이 지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근거를 제시하기를 바란다. 땅값이 폭등했다던지 비정상적으로 상승했다던지 최소한의 근거를 제시해야하지 않나”고 반박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