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김정은 첫 방중설…SCMP “베이징 국빈관 근처 도로 통제·경찰 배치”

  • 동아닷컴
  • 입력 2018년 3월 27일 10시 12분


코멘트
26일 오후 10시 반경(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의 국빈 숙소 댜오위타이 동문(정문)으로 북한 최고위급 인사를 태운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 20여 대가 줄지어 들어가는 모습. 베이징=윤완준 특파원 zeitung@donga.com
26일 오후 10시 반경(현지 시간) 중국 베이징의 국빈 숙소 댜오위타이 동문(정문)으로 북한 최고위급 인사를 태운 것으로 추정되는 차량 20여 대가 줄지어 들어가는 모습. 베이징=윤완준 특파원 zeitung@donga.com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했다는 보도가 일부 외신을 통해 나온 가운데, 홍콩 매체가 “김정은 위원장이 2011년 이후 처음으로 베이징 방문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6일 블룸버그 통신이 “김정은이 2011년 권력을 잡은 뒤 첫 외국여행으로 베이징에 깜짝 방문했다”는 보도를 언급하며 “소식통에 따르면 이 보도는 많은 경찰 인력이 북한과 중국의 국경지대와 외국 고위 인사들이 머무는 곳으로 알려진 곳에서 포착된 후 나온 것”이라고 밝혔다.

매체는 김 위원장의 ‘방중설’과 관련 “우리가 독자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었다”면서도 “그 사람이 김 위원장인지는 아직 확인되지는 않았으나, 그가 상당히 중요한 인물임을 알 수 있다”며 당시 삼엄했던 경비를 근거로 제시했다.

매체는 외국 고위급 인사들이 주로 머무는 베이징의 댜오위타이 국빈관 근처에 50여대의 경찰 차량과 많은 경찰 인력이 배치되는 등 경찰 활동이 현저하게 증가했고, 인근 도로가 통제됐다고 전했다.

이어 “소식통에 따르면 최근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는 북동부 랴오닝성 단둥 시에서도 고위급 관계자를 태운 열차가 통과할 경우를 대비해 보안이 강화됐다”고 덧붙였다.

매체는 김 위원장의 방중설이 제기된 이후 월요일 저녁 북한 대사관 측에 연락을 시도했으나 닿지 않았다고 밝히며 “이번 보도는 한국과 북한이 남북회담 개최에 합의하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직접적인 협상에 청신호를 밝힘에 따라 한반도의 긴장이 완화되고 있다는 점에서 나온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일각에서 김 위원장의 여동생인 김여정 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중국을 방문한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 측은 27일 “베이징에서 벌어지는 상황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혜란 동아닷컴 기자 lastleas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