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제균의 휴먼정치]친박은 없다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7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박제균 논설위원
박제균 논설위원
그때 박근혜 의원은 혼자였다. 2002년 4월 영국 케임브리지대 캠퍼스. 인터뷰를 위해 마주 앉은 박 의원 옆엔 아무도 없었다. 파리 특파원이던 나는 이 대학에서 열린 한영(韓英)포럼을 취재 중이었다. 박 의원은 그해 2월 한나라당을 탈당한 뒤 포럼에 참석했다. 탈당 이유는 ‘제왕적 총재’ 아래서 ‘이회창 사당화(私黨化)’했다는 것. ‘이회창’만 ‘박근혜’로 바꾸면 뒷날 그가 많이 듣게 되는 비판이 아닌가. 대선을 앞두고 난공불락일 것 같던 ‘이회창 대세론’ 아래 박 의원이 설 땅은 거의 없었다.

50대 서청원, 의장을 놓치다

그로부터 10년 뒤. 다시 마주 앉은 박근혜 대선후보. 주위엔 수많은 보좌진이 있었다. 정치부장으로서 박 후보를 인터뷰하는 자리였다. 유력 후보를 처음 인터뷰하기 위해선 치열한 경쟁을 치러야 했다. 박 후보는 10년 새 대세론의 이회창계보다, 전임 이명박 대통령의 친이계보다 훨씬 단단한 친박계를 구축했다. 하지만 달도 차면 기울 듯, 친박계가 이제 쇠락하기 시작했다.

최경환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하자 일부 친박이 서청원 의원에게 출마해 달라고 매달리는 모습을 보면 안타까운 생각마저 든다. 김영삼(YS) 대통령의 가신(家臣)이었던 서 의원은 1997년 대선에 나선 이회창 후보가 YS와 차별화하자 결별했다. 하지만 2002년 대선 때는 중앙선대위원장으로 이 후보의 당선을 위해 뛰었다. 민주계 출신으로 이회창을 돕다 친박계로 변신한 서 의원. 국회 최다 8선으로 ‘정치 8단’쯤 되는 그가 전대 출마를 고사하는 이유는 뭘까. 총선 이후 강성 친박에 제동을 걸곤 하는 그가 세상의 변화를 읽었기 때문이라고 나는 본다.

무엇보다 그는 50대였던 2000년에 국회의장을 손에 쥘 뻔했다. 20대 국회 후반기 의장직에 대한 미련을 버렸을 리 만무하다. 당시 5선의 그는 민주당 이만섭 의원과 의장직을 놓고 자유투표로 겨뤘다. 한나라당이 제1당인 여소야대(與小野大)임에도 8표 차로 석패했다. 당내 경선에서 그가 이겼던 박관용 의원은 다음 국회의장이 됐다. 이번에 ‘친박 대표’로 낙인찍히면 차기 의장직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친박계가 쇠락하는 결정적인 이유는 수장인 박 대통령이 더 이상 해줄 수 있는 게 별로 없기 때문이다. 총선 전에는 공천 때문에 박 대통령에게 매달렸고, 그것이 친박의 구심력이었다. 총선은 끝났고, 1년 7개월 남은 정부의 자리는 썩 매력적이지 않다. 박 대통령 또한 챙겨주는 성격이 아니라는 걸 모르는 사람은 없다. 박 대통령은 ‘의리’를 강조하지만 의리로만 결속하는 조직은 없다.

일각에서 TK(대구경북)에선 박 대통령의 영향력이 퇴임 이후에도 계속될 것이란 얘기도 나온다. 대단한 착각이다. 대한민국 산업화를 이룬 박정희의 딸이자, 부모를 모두 총격에 잃은 ‘비운의 공주’ 박근혜에게 느끼는 ‘짠한’ 부채의식은 대통령이 되면서 갚았다. ‘성공한 대통령’이 된다면 모를까, 쉽지 않은 일이다.

대통령 성공 막는 ‘보스’ 인상

박 대통령으로서도 지난 총선 때 너무 강하게 박힌 ‘친박계 보스’ 이미지가 성공을 막는 결정적인 장애물이다. 통치행위가 계파 이익을 위한 것으로 읽힐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이 상징적으로라도 김무성 유승민 의원을 보듬어야 하는 이유다. 한때 친박계보다 셌던 친이계는 지금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총선을 거치며 친노(친노무현)는 사실상 사라지고 친문(친문재인)만 남았다. 그런 게 정치다.

박제균 논설위원 phark@donga.com
#새누리당#박근혜#친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